EZ EZViwe

소방·경찰 공동대응으로 신속한 골든타임 확보

박지영 기자  2024.08.01 17:34:40

기사프린트

재난과 범죄현장의 신속한 초기 대응을 위해 18(경기북부 포함) ·도 경찰과 소방 상황실에 상호파견관 144(경찰·소방 각 72)을 상시 배치*한다.

* 18개 시·도 경찰청 상황실에 소방공무원을, ·도 소방본부 상황실에 경찰공무원을 각 4명씩 배치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이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지방자치단체에 두는 소방공무원의 정원에 관한 규정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일부개정안이 731()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지난해 4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국가 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이행의 일환으로, 주요 재난범죄 상황에서 경찰청과 소방청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었다.

 

그간, 112 또는 119 신고가 접수되면, 현장에 출동한 이후에야 경찰과 소방의 공동대응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국민의 입장에서 치안응급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5월 경찰소방 본청 상황실에 파견관 8(4)을 보강했다. 경찰과 소방이 현장 상황을 초기부터 상호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공동 대응 건수가 약 5% 증가했다.

상호파견관 배치(’23.5.10.) 이후 신고 모니터링 강화로 공동대응 요청 건(972,073)이 전년 동 기간 대비 5.3% 증가(+48,474) * ’24.6.30. 기준

 

이러한 성과를 전국에 확산하기 위해 소방기본법을 개정*(2024.1.30.공포, 2024.7.31.시행)해 시도 소방본부에도 경찰공무원을 둘 수 있게 됨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경찰소방 본청뿐 아니라 전국 18개 시도 상황실에도 상호파견관을 확대 운영하는 내용의 직제 등 개정안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 소방기본법41항에 따라 소방본부에 설치하는 119종합상황실에는 (중략)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경찰공무원을 둘 수 있다.

 

이번 개정으로 증원되는 상호파견관 144(경감 72, 소방경 72)18개 시·도 경찰청 및 소방본부 상황실에 각 4명씩 배치(14교대)되어

 

연간 3300만 건, 19만여 건(’23112·119신고 기준)에 이르는 방대하고 다양한 종류의 신고를 더 촘촘히 살펴 빈틈없이 대응할 계획이다.

파견관은 각 시·도 정원 조례 개정이 완료되는 대로 순차적 배치 예정

 

경찰소방 시도 상황실 상호파견관 상시배치도

 

 

 

지자체

 

·도 소방본부(18)

 

 

 

119종합상황실

 

 

 

소방공무원(72)

소방 묶음 개체입니다. 경찰

경찰공무원(72)

 

국가기관

 

·도 경찰청(18)

 

 

 

112치안종합상황실

 

소방국가직(시도소방본부)경찰(시도경찰청)국가기관 : 소방공무원 배치 가능

경찰국가직(시도경찰청)소방(시도소방본부)지자체 : 소방기본법개정으로 경찰공무원 배치 가능

 

·도 상호파견관은 지역 곳곳의 현장 상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공유하고 공동 대응함으로써,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고 범죄를 초기에 제압하는 데에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에 배치되는 파견관을 통해 모든 지역의 긴급한 현장에서 경찰소방의 협업이 더욱 긴밀해질 것이라며, “국민 안전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경찰·소방, 지자체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