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기간 : 2016.10~ 2019. 08 학력 : 인서울 4년제 생물학과 졸업 = 완전 노베이스 자격증 : 없음 공부장소 : 1년(부산공단기), 2년( 집 근처 독서실), 3년 (노량진) 국어 (국가직 9급 100, 지방직 9급 75, 국가직 7급 90) 정말 절 많이 고생시켰던 과목 같습니다. 인풋 대비 아웃풋이 희미한 과목이다 보니 정말 많은 시간을 할애 하더라도 결과를 장담 못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문제를 내는 사람과 핀트가 안맞으면 고득점 받다가도 한 순간에 점수가 추락하고는 했고 언어 과목들이 다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시간을 꾸준히 투자해야 했던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또한 실력이 차오를수록 뭘 더 공부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가장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공부법은 이선재 선생님 커리큘럼을 쭉 따라갔었습니다. 국가직 9급 지방직 9급 다시 국가직 7급으로 넘어오는 모의고사도 다 풀어보면서 했고 마지막 한달전부터는 기본서 1권을 10일 분량으로 쪼개서 3회독 정도 다시 정리하고 들어갔었습니다. 한달전에는 독해도 기출 위주로만 보면서 어떤 유형에서 많이 틀리는지 정리했던것 같습니다. 한자같은 경우는 스스로 독학했습니다. 오랜방황의 끝을 처음
지난 주 토요일에 금년도 법원사무직 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우리 학생들도 시험장에서 최선의 상태로 선전하였는데, 나는 시험장에서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서 시험 성적에 현격한 차이가 발생함을 알고 있습니다. 시험장에서 최선의 상태를 유지하면 과목 당 한두 문제 더 맞추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것은 시험의 성패에 결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는 우리 학생들에게 시험장에서의 유의사항을 평소 강조해 왔습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이러합니다. 첫째, 시험장에서는 감독관의 통제에 잘 따라야 합니다. 간혹 감독관과 불필요한 신경전을 벌이거나 심지어 다투는 사람들도 생기는데, 이래서는 수험생 자신만 손해를 봅니다. 감독관과 과도한 신경전을 벌이다가 정작 시험에 가장 중요한 집중력이 분산되면 결국 수험생 본인의 성적이 절대로 좋게 나올 수 없습니다. 감독관이 문제를 나누어 준 후 시험지를 확인하라 하면 그에 따르고, 화장실에 다녀오라 하면 그에 따르고, ‘시험 끝’이라고 하면 곧바로 펜을 놓아야 합니다. 가끔 시험 종료라는 말을 듣고도 아쉬움에 젖어 계속 답을 적다가 부정행위로 몰려서 시험 자체가 0점 처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래선 정말 곤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