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도 지방직 세무공무원 최종합격 ● 사립대 4년제 세무회계관련학과 졸업 ● 2016.8~2017.4 국가직 시험까지 + 2017.9~2018.5 ● 국어 처음 공부할 때 문법위주로 공부하였습니다. 그 후에 문학, 비문학을 정리하고 전체적으로 시간 분배를 하였습니다. 1년차에는 사자성어 포함한 한자, 어휘, 관용구를 하지 않았지만 2년차에는 시작하였습니다. 매일 1시간 정도 암기에 투자하였습니다. 일요일에는 그 주 암기사항을 복습하였습니다. 문법은 법칙들만 완전히 숙지했다면 그렇게 투자할 필요는 없다고 느꼈습니다. 선생님께서도 말했듯이 문학, 비문학 문제들이 수능형으로 나오고 있다고 하여서 시험이 다가올때는 매일 꾸준히 문학, 비문학을 기출이나 문제집 5문항씩 풀었습니다. 18년도 국가직때 국어를 거의 반타작 했던터라 지방직을 준비할 때 특히 문학 비문학에 치중하였습니다. 또한 한자, 어휘, 관용어는 너무 범위가 넓었던 터라 4권 필수한자, 반쪽모의고사, 나침판모의고사에 범위를 한정시켰고 잠시 시간이 나는대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그마한 수첩에 미처 못외웠던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시작하는 것은 한자, 뒤에서 시작하는 것은 어
Q. 진 선생님, 저는 지난 7월에 검찰직 공부를 시작한 수험생입니다. 그런데 이달 모의고사를 치루고 나서 충격이 매우 큽니다. 교양과목은 그런대로 무난한 점수가 나왔는데, 특히 형법과 형소법의 점수가 40점대에 머물러서 과연 이대로 공부해도 좋을는지, 제가 지금 제대로 공부하고 있는지 회의감이 매우 심하게 듭니다.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요. 오랜 기간 수많은 수험생들을 지도해 오신 선생님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A. 반갑습니다. 학생의 현재 상황을 깊이 공감합니다. 그런데 학생은 조금 성급해 보입니다. 학생이 원하는 성적의 상승은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금은 아마도 기본이론을 공부하는 과정일 터이니 모의고사를 응시해도 성적은 그리 좋게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법률 과목은 상당한 기간을 지나면서 이론강의와 문제풀이 등의 각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성적이 오르는 특성이 있습니다. 숙성기간이 필요한 것이지요. 그러니 지금 5개월 차에 들어선 학생이 높은 성적을 바라는 것은 다소 성급하다는 인상이 드는 것입니다. 수험생들 모두는 자신의 성적에 매우 예민한 관심을 갖게 마련입니다. 그렇지 않은 수험생이 있다면 오히려 그것이 더욱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