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독해 중심의 출제는 작년부터 국가직과 지방직에서 확실히 그 의지를 보였다. 이번 국가직 7급은 4월에 치른 국가직 9급에 비해 비문학 출제 비율이 낮았으나, 추론형 문항이 많아 체감 난도는 훨씬 높았을 거라 생각한다. 무조건 지문 길이를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지문에 있는 정보를 통해 ‘미루어 알 수 있는’ 선지를 고르는 긍정형 발문이 이전보다 많이 출제되었기 때문에 단순 내용일치 훈련을 해왔던 수험생들은 답안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그간 공시에서만 출제되던 배치나 배열 등의 구조 독해 유형을 내지 않고 추론형 문항 비율을 높인 것은 PSAT로 전환되기 전 기본적 추론 능력을 측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따라서 남은 7급 시험을 위해서는 일행직 기출 10개년이 아니라 기타직렬을 최근부터 역으로 3개년 이상 범위를 꼼꼼히 풀고, 변화한 시험에 대비가 되는 수준 높은 독해 문제들을 푸시는 것이 좋겠다. 문학은 사설시조와 근대 개화 가사의 낯선 표현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다. 지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면 문항 자체의 난도는 높지 않았다. 교과서 필수 작품을 통해 고어 표현을 이해하는 훈련을 하시길 바란다. 현대 소설
군복무 후 대학교 3학년을 마치고 휴학계를 낸 후 2018년 1월 말부터 시험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제 전공이 영어영문학과이다보니 영어과목을 제외하고는 다른 과목에 대한 기본지식은 많지 않았습니다. 약 1년간의 수험생활 끝에 2019년 2월 23일에 있었던 서울시 1차 공개채용에서 일반행정직 7급에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군복무 시절 강원도 고성 GOP에서 대대 상황병으로 임무수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곳에서 각종 인사,군수,작전,정보와 같은 행정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것들이 제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되었고 제대 후 행정학과를 복수전공하면서 행정직 공무원에 대한 꿈을 키웠습니다. 특별한 계기라고 할 만한 것은 없습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당시, 공무원 시험에 관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네이버 포털에 검색을 해보았고 가장 눈에 띄었던 아모르이그잼의 인터넷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학습방법 우선 제 수험기간은 2018년 1월 말~ 2019년 2월까지입니다. 2018년 한 해 동안은 아모르이그잼 인터넷 강의를 들으며 동네 도서관에서 독학을 하였고 2019년 1월부터 약 2개월 간 학원에서 실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