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에 도달한 나의 공부법과 수험 생활 하루에 몇 시간을 공부했는지 기록하지 않고 과목마다 습득한 부분과 완성도를 1~5단계로 표시해 기록표를 작성했습니다. 예를 들어 국어는 크게 국어문법, 문학, 비문학으로 범주를 나누고 국어문법은 기본문법, 표준어, 외래어, 로마자, 한자로 나누어 상세한 단원을 목차로 만들었습니다. 아침에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각 단원마다 1쪽씩이라도 볼 수 있도록 계획을 짜고 공부를 마친 뒤에는 가상의 학생이 있다고 생각하고 내 자신이 강사가 되어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막힘없이 설명이 가능할 때는 5단계를 주었고 5단계가 아니면 재 복습을 바로 해주었습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는 5과목 모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걸리고 지루하기도 하고 공부방법이 잘못 설정된 건 아닌지 걱정이 많아 교수님들과 합격자들의 수기를 많이 읽어보았습니다. 합격수기를 읽으면서 각자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갖고 있는 학생들은 반드시 합격한다는 것을 느꼈고 제 방법을 꾸준하게 추구한 결과 2~3개월이 지나자 처음 시작할 때보다 공부시간이 점점 줄었습니다. 공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기기 시작하자 체력관리도 병행하였습니다. 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