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4,318명이 최종 합격했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최종합격자를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를 통해 19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5일 치러진 필기시험에는 5,490명이 합격했으며,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일까지 총 6일간 면접시험을 거쳐 최종 4,318명이 합격했다. 【 모집 분야별 최종합격 현황 】 구 분 최종 합격인원 과학기술직군 행정직군 총 계 4,318명 678명 3,640명 일 반 4,056명 647명 3,409명 장애인 136명 16명 120명 저소득 126명 15명 111명 남성 합격자는 2,319명(53.7%), 여성 합격자는 1,999명(46.3%)으로 나타났다. 합격자 평균연령은 29.3세로 지난해(29.5세)와 유사하다. 직군별로는 과학기술직군이 678명(15.7%), 행정직군은 3,640명(84.3%)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62.3%(2,68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 31.9%(1,379명), 40대 5.1%(220명), 50세 이상 0.5%(23명), 18~19세 0.2%(7명) 순이었다. 최종합격자는 이달 2
2025년도 지방공무원 9급 공·경채 필기시험이 6월 21일(토) 17개 시‧도 시험장에서 동시에 실시됐다. 올해 선발 예정인원은 1만 3,596명으로, 11만 9,066명이 지원해 지난해 대비 다소 하락한 8.8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 전체 평균경쟁률 8.8대1 중 (8·9급 공채) 8.7대1, (기타 경채) 10.6대1 ※ 최근 5년 경쟁률 : ’21년10.3대1⟶’22년9.1대1⟶’23년10.7대1⟶’24년10.4대1⟶’25년8.8대1 지역별로는 부산광역시가 29.6대 1(선발 247명/접수 7,312명)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충청남도가 5.4대 1(선발 1,148명/접수 6,160명)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 (경쟁률 높은 지역 순) : 부산 29.6대1, 대구 18.1대1, 광주 17.7대1 (경쟁률 낮은 지역 순) : 충남 5.4대1, 충북 5.5대1, 강원 5.6대1 모집 직군별로는 행정직군이 10.6대 1(선발 7,804명/접수 8만 2,952명), 과학기술직군이 6.2대 1(선발 5,792명/접수 3만 6,114명)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세~29세가 48.3%(5만 7,562명)로 가장 많고, 30세~39세가 3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7급 공채시험의 국어 과목은 공직적격성평가로, 9급 공채시험의 한국사 과목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각각 대체되어 기관의 채용시험 간 호환성이 높아지고 수험생 부담이 완화된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공무원 임용령」과 「지방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일부개정안이 5월 28일(수)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무원 7급 공채시험의 국어 과목을 공직적격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이하 ‘PSAT’)로 대체하고 시험절차도 변경한다. 현행 국어 과목은 지식암기 위주의 평가로 인해 과도한 수험 부담이 생기고, 실제 직무와의 연관성·활용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국어 과목을 이해력·상황판단 능력 등 종합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PSAT*로 대체해 2년의 유예기간을 두고 2027년부터 시행된다. * 공직 수행에 필요한 논리력, 분석력, 판단력 등 공통역량을 검정해 공직 우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험(평가영역 :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또한, 현행 필기시험(1·2차시험 병합)과 면접시험(3차시험) 2단계로
행정안전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2024.12.31. 기준)’를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 전체 공무원은 2023년(31만 3,296명) 대비 1,909명(0.6%)이 증가한 31만 5,205명으로 조사되어 최근 3년간 증가폭*이 감소했다. * (’22년) 2.3% → (’23년) 1.4% → (’24년) 0.6% 지방공무원의 평균 나이는 41.4세이고, 평균 근무연수는 13.5년, 여성 공무원 수는 지난해인 2023년 50%를 넘어선 이후 51.3%로 증가한 16만 1,710명으로 조사됐다. 현원 기준 인사통계 주요 현황은 다음과 같다. (시·도별)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를 모두 포함해 지방공무원 수가 많은 지역을 살펴보면 경기도(5만 6,948명), 서울특별시(4만 8,792명), 경상북도(2만 4,579명) 순이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4,147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 수원시 3,826명, 경기도 고양시 3,499명, 경기도 용인시 3,378명, 충청북도 청주시 3,319명 순이다. (직종별) 일반직은 31만 3,272명, 특정직 984명, 별정직 670명, 정무직 2
2025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44.6대 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지난 12~16일까지 국가공무원 7급 공채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595명에 2만 6,511명이 지원해 평균 44.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17일 밝혔다. ※ 최근 5년간 경쟁률 : (’21년) 47.8:1 → (’22년) 42.7:1 → (’23년) 40.4:1 → (’24년) 40.6:1 → (’25년) 44.6:1 모집직군별 경쟁률은 과학기술직군 31.7대 1, 행정직군 49.5대 1로 각각 나타났다. 【 2025년도 7급 공채 원서접수 결과 】 구분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경쟁률) 증감(명) ’25년 ’24년 ’25년 ’24년 계 595 654 26,511 (44.6) 26,532 (40.6) ↓21 과학기술 166 186 5,262 (31.7) 4,549 (24.5) ↑713 행정 429 468 21,249 (49.5) 21,983 (47.0) ↓734 세부 모집 단위별 경쟁률로 보면, 과학기술직군에서는 공업직(전기)이 78.3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행정직군에서는 행정직(인사조직)이 131.0대 1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지난달 미국 뉴욕 소방청(FDNY:Fire Department of the City of New york)과 협력하여 국내 우수 구급대원 15명을 선발, 응급의료서비스(EMS) 국외연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지난 4월 21일부터 29일까지 9일간 진행됐으며, 구급대원의 전문성과 현장대응역량을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최고의 역량을 갖추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미국 내 구급출동 건수 1위를 기록하며 세계 다양한 현장에서 응급구조 역량을 자랑하는 뉴욕 소방청의 소방본부, EMS 아카데미, 상황실 등을 방문하여 구급정책 및 훈련 프로그램, 장비 운영 현황을 직접 확인하고 담당자들과 실무적인 의견을 나눴다. 특히 뉴욕 소방청의 탐색‧구조 응급의료 훈련(Search & Rescue Field Medicine Training)에 참가하여 ▲기도 확보 ▲드론을 활용한 응급상황 대응 ▲현장 혈액 수혈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을 통한 재난 상황 대처 등 최신 기술과 이론을 접하며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또, 협소 공간 구조, 항공 구조 대응, 항공기 사고 모형에서의 환자 구조 등 실
올해 전국 지역인재 7급 수습 직원 선발시험 최종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2025년도 전국 지역인재 7급 수습 직원 선발시험’ 최종합격자 158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15일 발표했다. 최종합격자는 행정직군 105명, 과학기술 직군 53명이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과학기술 직군은 선발 직렬과 합격자 전공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일반토목 15명, 일반기계 7명 등 직렬(직류)별로 구분해 선발했다. < 직군별 선발인원 > (단위: 명) 직군 행정 직군 과학기술직군 직렬 소 계 공업 시설 방송통신 방재 안전 농업 환경 보건 전산 직류 일반 기계 전기 화공 일반토목 건축 전송기술 방재 안전 일반 농업 일반환경 보건 전산 개발 전송 기술 계 선발인원 158 105 53 7 4 3 12 5 7 1 1 3 1 7 2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24.9세로 지난해와 동일했으며, 최고령 합격자는 30세, 최연소 합격자는 22세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4~26세가 76.6%(121명)로 가장 많고, 22~23세 12.6%(20명), 27세 이상 10.8%(17명) 순이다. 합격자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게시된 공고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