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적 균형인사정책 확산을 위해 인사혁신처와 한국인사행정학회가 주최한 제3회 균형인사정책 발전 포럼이 지난 여름 개최되었다.
균형인사 정책은 차별과 배제가 없는 포용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 정부차원의 노력들 중 하나이다. 이날 포럼의 내용을 다시 돌아보며 균형인사란 무엇이며, 균형인사가 안고 있는 과제와 발전 방안에 대해 살펴보자.
이날 인사혁신처장은 “다양한 집단과 계층에서 인재를 확보하려는 노력에서 한걸음 더 다가가 조직에서 충분히 역량을 발휘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승진이나 보직관리·교육훈련 등 인사관리 전반에서 실적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권용수 한국인사행정학회장도 균형인사 포럼이 보다 발전적인 진단과 성찰 그리고 국민적 이해와 사고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는 축사를 했다.
포럼의 주용 내용은 균형인사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들의 주제발표와 그에 관한 토론으로 이어졌다.
조태준 상명대 교수는 균형인사의 가치를 어떻게 개선하고 인식하고 하나의 조직문화로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고, 유상엽 연세대 교수는 인구구조의 다양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들의 목소리가 정부안에 명확하게 전달되고 있는지, 또 정부가 이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대변하고 있는지 고려해야한다고 밝혔다.
최성주 경희대 교수는 데이터를 일반에 공개함으로써 인사관리의 형평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고, 정부가 얼마나 대표성과 다양성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고 언급했다.
김경국 기획재정부 인재경영과장은 정부의 균형인사가 양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에도 초점을 맞춰줘야 할 때라고 밝혔다.
박수정 행정개혁시민연합 사무총장은 인사정책 관련해서 많은 분야가 중앙·지방·공공기관 각기 따로 운영되어 정책이 일관되게 관리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인사DB관련해서는 연계를 강조했다.
박성민 성균관대 교수는 균형인사 정책 진단 시 외적 타당성 측면에서 충분한 진단 수준인지를, 내적 타당성 측면에서는 정량적 지표들과 함께 정성적 지표의 외연 확대 부분을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수인 전북연구원 여성정책연구소장은 다양성을 포용하는 인사정책이 중요하지만, 다양성의 강조가 보편적인 규범과 충돌하지 않도록 인사선발 시스템의 세심한 확립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편, 인사처는 2018년에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을 시작으로 올해 3번째 연차보고서 발간을 준비 중이며, 공공기관 340개 기관별 실적 등을 포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 나온 과제와 여러 방안들을 바탕으로, 다양성과 보편성이 충돌하지 않고 서로 공생하는 균형인사정책의 발전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