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대학(대학장 치안정감 오문교)은 2025년 3월 4일(화) 오후 2시, 충남 아산에 있는 경찰대학 이순신홀에서 2025학년도 경찰대학 신입생 및 경위공개채용자(경위공채) 입학식을 개최했다. 이번 입학식은 경찰대학 제45기 신입생, 제43기 편입생, 그리고 제74기 경위공채자들이 경찰관으로서의 첫발을 내딛는 자리로, 입학생 150명을 비롯해 학부모, 교수진, 경찰 지휘부 등 약 700명이 참석했다. 신입생(제45기): 경찰대학 제45기 학생들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신체검사, 적성검사, 면접 등의 시험 과정을 거쳐, 학교생활기록부 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합산한 결과에 따라 전국 175.2: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50명(남 37명, 여 13명)이 최종 선발됐다. 수석은 정동희(서울 양정고, 남) 입학생이 차지했다. 편입생(제43기): 일반전형과 재직전형으로 구분 모집하여 필기시험, 체력·적성·신체검사 및 면접시험을 거쳐 각각 25명씩 총 50명(남 30명, 여 20명)이 선발되었다. 일반전형 수석은 황현택(연세대, 남), 재직전형 수석은 한지훈(부경대, 경기남부청, 남) 입학생이 차지했다. 편입생들은 2025학년도 경찰대학 3학년(제43기)으로 편입
정부 고위공무원단 및 과장급 직위에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25년도 3월 개방형 직위 공개모집’을 진행한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전문성이 요구되거나 효율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리를 ‘개방형 직위’로 지정하고 공직 내·외부 공개모집을 통해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25년 3월 개방형 직위 공개모집’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공모 직위는 총 8개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등 7개 부처의 고위공무원단 3개, 과장급 5개 직위다. 【 부처별 공개모집 현황 】 부처 선발 직위 임용직급 모집대상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 고위공무원 나등급(연구관) 민간인/공무원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정책관 고위공무원 나등급 민간인/공무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인권감찰관 고위공무원 나등급 민간인/공무원 법무부 국립법무병원 사회정신과장 과장급(4급) 민간인/공무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언어정보과장 과장급(4급, 연구관) 민간인/공무원 보건복지부 양성평등정책담당관 과장급(4급) 민간인/공무원 고용노동부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사무국장 과장급(4급, 임기제) 민간인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산림항공과장 과장급(4급) 민간인/공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허동현)는 지난 2월 16일(일) 실시된 제7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시험 결과를 2월 28(금) 오전 10시에 발표했다. 응시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www.historyexam.go.kr)에서 인증 등급과 취득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서를 출력할 수 있다. 제7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지원자 수는 115,451명이었으며, 시험 당일 19,399명이 결시하여 최종적으로 96,052명(결시율16.80%)이 시험에 응시하였다. 전체 인증 인원은 62.477명(평균 합격률 65.04%)이었다. 구 분 심화 기본 합 계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지원자수 102,131 13,320 115,451 결시자수 18,394 1,005 19,399 응시자수 83,737 12,315 96,052 합격자수 27,520 14,878 12,990 2,316 2,260 2,513 62,477 급수별합격률 32.86% 17.77% 15.51% 18.81% 18.35% 20.41% 합격률 66.15% 57.56% 65.04% 이번 시험에서 발생한 부정행위는 총 26건으로, 직전 제72회 시험(22건) 대비 4건 증가하였다. 부정행위의 주요 유형은
행정안전부는 17개 시·도의 2025년 지방공무원 신규 충원계획에 따라 총 1만 7,665명의 지방공무원을 신규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발인원 규모는 정부 인력 효율화 기조, 퇴직 및 휴직 등으로 인한 예상결원 등이 반영된 것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됐다. 올해 선발예정인원은 전년도 1만 6,333명 대비 1,332명(8.2%) 증가*하였으며 특히 연구·지도직 등에 대한 선발인원이 크게 증가**했다. * (’21년) 27,195명, (’22년) 28,717명, (’23년) 18,819명, (’24년) 16,333명, (’25년) 17,665명 ** (’24년) 316명 → (’25년) 505명 / 작년 대비 35.4% 증가 구체적인 직종별, 시·도별 선발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종별로는 7급 이상 563명, 8·9급 1만 4,426명을 선발하며, 연구·지도직 505명, 임기제 2,136명, 전문경력관 16명을 선발하여 일반직 공무원 1만 7,646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별정직공무원 13명, 특정직공무원 6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시·도별로는 경기도 3,637명, 서울 2,382명, 경북 1,463명, 충남 1,
행정안전부는 2025년 2월부터 중앙부처 공무원 1,560명을 대상으로 ‘휴가지 원격 근무 (이하: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코로나 이후 새로운 근무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워케이션(Workation)’은 일(Work)과 휴가(Vacation)의 합성어로 기존 도심 속 사무실에서 벗어나 휴가지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기회를 주는 업무형태다. 업무 생산성과 창의성, 만족도와 복지를 높이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는 새로운 근무 방식으로 민간기업에서도 확대하는 추세다. 워케이션은 관광객이 적은 주중 비수기에도 수도권 등의 인구가 지역에 체류하게 되어 생활인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게 되어, 효과적인 지방소멸대응 정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중앙부처 공무원 대상 워케이션 사업은 ▲주중 비수기 생활인구 유입으로 지역 경제활성화, ▲새로운 환경에서 업무몰입을 통한 성과 향상, ▲지자체 근무경험이 적은 중앙부처 공무원에게 정책현장 체험기회 제공을 목표로 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워케이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행정안전부 직원 123명을 대상으로 ‘워케이션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시범사업 운영 후, 실시한 설문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오랜 기간 헌신한 경찰·소방공무원의 국립묘지 안장이 28일부터 시작된다.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30년 이상 장기 재직한 후 정년퇴직한 경찰·소방공무원을 국립호국원에 안장하는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2월 27일 개정ㆍ공포된 이래,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8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국립묘지법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경찰·소방관의 자긍심을 높이고 예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찰청과 소방청, 국회 등과의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개정됐다. 다만, 국립묘지의 영예성과 국민 눈높이를 고려해 경찰·소방관으로 재직기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징계처분이나 비위 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안장대상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안장대상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2025년 2월 28일 이후 사망자부터 적용하게 된다. 특히, 국가보훈부는 지난 1년간 관계 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안장심의 대상이 되는 징계처분이나 비위 사실의 구체적인 범위를 「국가공무원법」 제79조에 따른 징계 중 강등, 정직 또는 감봉의 징계처분과 공무원 재직 중 벌금형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로 정했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부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해양 관련 범죄 수사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범인 검거 등 공로자 보상 체계를 강화한다고 25일 밝혔다. 범인 검거 등 공로자 보상이란 ▲ 범인 소재 신고 ▲ 범인 검거 후 인도 ▲ 테러범죄 예방 활동 ▲ 범인 신원 특정 정보제공 ▲ 범죄입증 증거물 제출 ▲ 기타 수사 협조 등 수사 활동에 도움을 준 사람에게 그 공로를 인정하고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2024년 9월 20일 「경찰관 직무집행법」 일부개정으로 해양경찰청의 범인 검거 등 공로자 보상에 관한 근거를 법률에 마련하였다. 또 「경찰관 직무집행법 시행령」 일부개정과 「(해양경찰청) 범인 검거 등 공로자 보상에 관한 규정」을 고시로 신규 제정하여 보상금 지급기준과 절차 등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지난 수년간 제자리였던 보상금 예산 500만 원을 올해부터 연간 6,000만 원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증액 확보하여 공로자 보상을 위한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김인창 수사국장은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범죄 특성상 국민의 신고와 제보 등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라며, “앞으로도 국민의 공로가 있을 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
경찰청(경찰청장 직무대행 이호영)은 2. 18. 경찰청에서 스타벅스코리아(대표이사 손정현)‧한국사회복지협의회(이사장 김성이)와 순직‧공상 경찰관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및 현장 경찰관 대상 음료 및 음식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히어로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김병우 경찰청 경무인사기획관, 신동우 스타벅스코리아 전략기획본부장, 김민우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나눔사업추진단장 등이 참석했다. 「히어로 프로그램」은 자신의 생명보다 국민의 안전을 먼저 생각한 경찰관들의 희생을 기리는 취지에서 순직‧공상 경찰관 자녀를 대상으로 향후 3년간 매년 1억 원씩 총 3억 원의 장학금을 지원하며, 현장 경찰관서에 방문하여 소속 직원들에게 음료와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올해는 중심 지역 관서 및 공동체 지역 관서를 중심으로 주민 친화적 공동체 치안 활동을 우수하게 수행한 16개 경찰서 소속 직원 약 7,100명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경찰청에서는 순직·공상 경찰관 지원을 위한 법령·제도 개선은 물론, 이번 업무협약과같이 민간과의 협업을 통해 지원의 폭을 넓혀 가는데도 힘쓰고 있다. 김병우 경무인사기획관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경찰관
행정, 전산, 농업 등 분야에서 올해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을 68명 선발한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시행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에 14일 공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교육부 등 19개 중앙행정기관에서 15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직급으로 채용한다. 직급별로 7급 2명, 8급 4명, 9급 56명, 연구사 5명, 전문경력관 1명을 선발한다. 【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채용 직급별 선발예정인원 】 직렬 직급 계 행 정 전 산 해양수산 간 호 공 업 농 업 관 세 보 건 약 무 통 계 식품 위생 통계연구 수의연구 기 타 7급 2 - - - - - - - - 1 1 - - - - 8급 4 1 1 1 1 - - - - - - - - - - 9급 56 44 3 2 - 1 1 1 1 - 1 1 - - 1 연구사 5 - - - - - 3 - - - - - 1 1 - 전문경력관(나군) 1 - - - - - - - - - - - - - 1 계 68 45 4 3 1 1 4 1 1 1 2 1 1 1 2 최종합격자는 ▲우편물 관리 ▲정보시스템 운영 관리 ▲예산․회
서울시는 2월 13일 공고를 통해 2025년 7~9급 지방공무원 채용 선발 인원을 1,866명으로 확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264명이 증가한 것으로 예상 퇴직규모 등을 감안해 산출한 규모다. 올해 신규 공무원은 ▴공개경쟁 1,695명, ▴경력경쟁 171명이 채용될 예정으로 직급별로는 ▴7급 147명, ▴8급 89명, ▴9급 1,605명, ▴연구사 25명이며, 모집 분야별로는 ▴행정직군 1,158명▴기술직군 683명, ▴연구·지도직군 25명이다. 특히 시는 올해도 예년과 같이 장애인, 저소득층 등을 관련법상 고용의무비율을 초과해 적극 채용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에 해당되는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할 계획이다. 사회적 약자의 구분 모집별 인원은 장애인 95명(전체 5%), 저소득층 151명(9급 공채 10%)이며 모두 법정 의무채용 비율 이상이다. ※ 의무채용 비율 : 장애인(3.8%), 저소득층(2%) 올해부터 달라지는 점은 8·9급 공개경쟁 임용시험의 국어·영어 과목 출제 기조가 지식암기 위주에서 직무 적합형 중심으로 전환되어, 필기시험 시간이 100분(5과목)에서 10분 늘어나 110분으로 변경된다. 또 신규임용시험 녹지직류 가산 대상 자격증에 나무의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 이하 국민권익위) 소속 청렴연수원은 올해 중앙행정기관, 광역·지방자치단체, 교육자치단체, 공직유관단체를 대상으로 권익구제·행정심판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청렴연수원은 2023년부터 고충민원처리·권익개선·행정심판 역량강화 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올해에는 기존 고충민원처리 역량강화 과정과 권익개선 역량강화 과정을 ‘권익구제 역량강화 과정’*으로 통합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고충민원처리 제도 및 대응 방법 ▴분아별 고충민원처리 사례 ▴악성민원 대응 방법 ▴분야별 제도 개선 사례 ▴민원정보분석시스템 활용 사례 ▴국민신문고 시스템 실습 ▴민원 담당자를 위한 힐링 체험 등 그리고 중앙행정기관, 광역·기초자치단체, 공직유관단체, 교육자치단체 등 기관유형별로 교육생을 모집하고 기관별 특성에 따라 현업에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무 사례 중심으로 교육을 구성했다. 특히, 올해부터 악성 민원에 대한 전문적인 대응방안 교육 시간을 마련하여 민원 담당자를 보호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행정심판 역량강화 과정은 행정심판 제도의 이해, 처분청 답변서 및 행정심판 재결서 작성법 등 행정심판 업무를 수행할 때 꼭 필요한 실
1 시험 일정 및 선발 인원 □ 시험 일정 시험 공고 ⇨ 원서접수 ⇨ 필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5. 26.(월) 5. 26.(월) ~ 6. 5.(목) 7. 26.(토) 12. 11.(목) □ 선발 인원 분야 계 일반 세무회계 사이버 인원 50 40 5 5 2 시험 관련 주요 변경사항 안내 □가산점 제도 개편 및 체력검사 평가 방식 변경 • ’25년 채용시험부터 기존 가산점 제도가 변경되어, 무도 분야 단증(2단 이상) 소지자에 한해 체력검사 성적에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기존 (~’24년) ⇨ 개선 (’25년~) 필기시험 50% 필기시험 50% 체력시험 25% (체력 25%) 체력시험 25% (체력 24%+가산점 1%) 면접시험 25% (면접 20%+가산점 5%) 면접시험 25% ※ 체력시험 가산점 인정 무도단체 현황[붙임1] 참조 •체력검사 성적 계산 시 무도 분야 자격증(단증)을 보유한 경우 2·3단은 0.5점, 4단 이상은 1점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 체력점수(25점 만점): 순환식 체력검사 합격 시 24점 + 가산점 점수 □ 면접시험 평가항목 개선 • ’25년 채용시험부터는 면접시험에 반영되던 가산점이 폐지되며, 면접시험 비중이 20%→25%로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제31기 소방간부후보생 선발 필기시험’합격자 64명을 119고시(119gosi.kr)를 통해 11일 발표했다. ※ 소방간부후보생 선발시험: 매년 소방위 계급으로 필기-체력-종합적성검사-면접을 거쳐 30명(남 26, 여 4명)을 선발한다. 소방청이 발표한 필기시험 합격자 공고에 따르면 총 705명의 응시자 가운데 64명이 필기시험에 합격했으며, 합격선은 400점 만점 기준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남성 388점, 여성 368점이었으며 자연계열은 남성 324점, 여성 244점으로 나타났다. 합격자 평균연령은 27.8세로 지난해(27.3세)보다 소폭 상승했다. 소방간부후보생 선발 필기시험은 한국사와 영어는 관련시험 성적으로 대체(검정제)되며, 이를 제외한 4과목(과목당 객관식 25문항, 5지선다) 총 100분간 시험이 진행되었다. 인문사회계열은 필수과목인 헌법, 행정법 외 행정학, 민법총칙, 형사소송법, 경제학, 소방학개론 중 2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자연계열은 필수과목인 헌법, 자연과학개론 외 화학개론, 물리학개론, 건축공학개론, 전기공학개론, 소방학개론 중 2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오는 2월 19일 체력시험과 종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11일 발표한 ‘2024년도 국가청렴도(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4점, 180개국 중 30위*를 기록했다. * (’20) 61점, 33위 → (’21) 62점, 32위 → (’22) 63점, 31위 → (’23) 63점, 32위 → (’24) 64점, 30위 ** OECD 가입 38개국 중 21위로 전년 대비 한단계 상승 이번 우리나라의 점수와 순위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1점과 2단계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전년도에 우리나라보다 선순위에 있었던 카보베르데(30위→32위)를 제치고, 이스라엘과 함께 30위를 차지했다. OCED 국가 중에서도 지난해보다 1단계 상승한 21위로 올라섰다. 국가청렴도(CPI)는 1995년부터 매년 국제투명성기구(독일 베를린 소재)가 공공‧정치부문에 존재하는 부패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점수가 높을수록 청렴함을 의미한다. 이번 평가 결과는 ▴반부패 법·제도 운영을 통한 부패방지 노력 ▴부패신고 제도 개선과 공익신고자 보호·지원 강화 ▴지방의회 실태점검, 채용비리와 같은 사회적 부패 현안에 대한
【 2025년도 9급 공채 원서접수 결과 】 구 분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경쟁률) 증감(명) ’25년 ’24년 ’25년 ’24년 총계 4,330 4,749 105,111 (24.3) 103,597 (21.8) ↑1,514 과학 기술 소계 700 658 15,455 (22.1) 13,445 (20.4) ↑2,010 일반 630 593 15,146 (24.0) 13,174 (22.2) ↑1,972 장애인 52 48 135 (2.6) 119 (2.5) ↑16 저소득 18 17 174 (9.7) 152 (8.9) ↑22 행정 소계 3,630 4,091 89,656 (24.7) 90,152 (22.0) ↓496 일반 3,320 3,750 86,310 (26.0) 86,848 (23.2) ↓538 장애인 204 223 1,449 (7.2) 1,458 (6.5) ↓9 저소득 106 118 1,897 (17.9) 1,846 (15.6) ↑51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24.3대 1로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지난 3일~7일 9급 공채 선발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4,330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