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간한 「코로나19, 비대면 산업동향과 대학생 취업인식 분석」에 따르면 4년제 대학생 및 졸업생 응답자 6,006명 중 1,764명(29.4%)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 응시 계획이 있는 수험생이 응시할 계획이 있는 공무원 시험 급수를 살펴보면 9급에 응시할 학생은 1,217명(53.7%), 7급에 응시할 학생은 870명(38.4%), 5급에 응시할 학생은 180명(7.9%)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에 응시 계획이 있는 수험생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는 이유에 대해 8개 세부항목별로 살펴본 결과, ‘고용안정성 보장’이 1,193명(27.2%)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다음으로 ‘급여 안정성 및 복리후생’이 1,077명(24.6%)으로 뒤를 이었다. 그 밖의 시험 응시 이유는 ‘퇴직후 공무원연금제도’(757명, 17.3%), ‘공무원으로서 적성과 소질, 소명의식 등’(459명, 10.5%), ‘사회적 평판과 인식’(337명, 7.7%),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237명, 5.4%)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부모님이 원해서‘, 공기업 채용인원 감소, ’자기소개서를
국회사무처가 시행하는 2022년 국회공무원 시험일정은 2021년과 비슷한 시기에 시행될 예정이다.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선발인원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한 공고는 5월 19일로 예정된 가운데, 접수기간은 6. 2.(목) ∼ 6. 9.(목)이며, 필기시험은 8월 13일(토)에 시행하고, 면접시험은 10.17.(월) ~10.20.(목)에 치러지며, 최종합격자 발표는 10월 21일(금)이다.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선발인원 공고일은 2월 9일(수)이고, 접수기간은 2. 15.(화) ∼ 2. 22.(화), 필기시험은 4월 23일, 면접시험은 6. 7.(화) ~ 6. 8.(수)에 진행되며, 최종합격자는 6월 10일(금)에 발표된다. . 입법고시는 1. 28.(금)에 시험공고 후, 2. 3.(목) ∼ 2. 10.(목)에 접수를 받고, 1차 시험(3. 12.), 2차 시험(5. 24. ~ 5. 26.), 3차 시험(7. 26. ~ 7. 27.)에 치러진 후 최종합격자는 7월 29일(금)에 발표된다. 한편 상기 일정은 기관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시험별·직렬별 선발인원을 포함한 자세한 사항은 추후 각 시험별 국회채용시스템 「시험공고」란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올해부터는 9급 공채 시험과목에서 사회, 과학, 수학 등 고교 선택과목이 제외되고 선택과목간 점수 편차 조정을 위해 도입됐던 조정(표준)점수제 또한 폐지된다. 그리고 직류별 전문과목이 필수화된다. 9급 공채 신규자의 직무역량 및 대국민 행정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행정학 등 직류별 전문 과목을 필수화 하는 것이다. 이에 2022년 4월 시험부터 달라지는 9급 공채 필기시험 26개 전 직류 시험과목을 직류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9급 직류별 필기시험 과목 > 직류 필기시험 과목 주요 근무 예정부처(예시) 일반행정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전 부처 고용노동 국어, 영어, 한국사, 노동법개론, 행정법총론 고용노동부 교육행정 국어, 영어, 한국사, 교육학개론, 행정법총론 교육부 선거행정 국어, 영어, 한국사, 공직선거법, 행정법총론 중앙선관위 직업상담 국어, 영어, 한국사, 노동법개론, 직업상담·심리학개론 고용노동부 세무 국어, 영어, 한국사, 세법개론, 회계학 국세청 관세 국어, 영어, 한국사, 관세법개론, 회계원리 관세청 통계 국어, 영어, 한국사, 통계학개론, 경제학개론 통계청 외 교정 국어, 영어, 한국사, 교정학
지난 2일 발표된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계획에 따르면 올해 세무직 9급 채용 예정인원은 일반모집 850명, 장애인 11명, 저소득 4명이다. 이는 9급 전 직렬 중 가장 많은 채용인원으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세무직이 가장 많은 인원을 뽑는 직렬인 셈이다. 2021년의 경우 최초 공지에서 805명을 선발할 예정이었으나 원서접수 전 채용규모 확대로 1,111명으로 선발 예정인원을 조정했다. 그 결과 작년 세무직 경쟁률은 제작연도(24.7:1) 보다 크게 떨어졌다. 결국 필기시험 결과 합격선 또한 다른 직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작년 주요 직렬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교정직(남)이 11.3대 1로 가장 낮았고, 세무직이 17.7대 1로 전 직렬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세무직의 합격선 또한 교정직, 직업상담직, 보호직, 철도경찰직과 함께 상대적으로 낮은 380점 이하로 형성됐다. < 2021년 주요 직렬 원서접수 현황 > 모집단위 2021년 접수인원 선발예정인원(22년) 경쟁률 일반행정 전국 41,754 416(456) 100.4 : 1 일반행정 지역 16,511 256(233) 64.5 : 1 고용노동 17,892 656(469
올해 국가공무원 채용시험 선발 인원이 6,819명으로 확정됐다. 고용안전망 강화와 범죄예방 및 수사, 방역지원과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민생지원 인력이 중점 채용된다. 올해부터 9급 공채 시험과목에서 직류별 전문과목이 필수화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우호)는 이 같은 내용의 ‘2022년도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등 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 등을 통해 공고한다고 2일 밝혔다. 직급별 선발인원은 9급 공채 5,672명, 7급 공채 785명, 5급 공채 362명(외교관후보자 40명 포함)이다. 이 중 일선 현장에 배치될 7‧9급 공채 인원이 총 6,457명으로 전체 선발 인원의 94.7%에 해당한다. 【 2022년도 국가공무원 공채 직급별 선발인원 】 구분 합계 선발인원(총 6,819명) 9급 5,672명 ■ 행정직군 4,996명 ■ 기술직군 676명 7급 785명 ■ 행정직군 554명 ■ 기술직군 206명 ■ 외무영사직 25명 5급 322명 ■ 행정직군 238명(지역구분모집 20명 포함) ■ 기술직군 84명(지역구분모집 5명 포함) 외교관후보자 40명 ■ 외교관후보자 40명 올해 선발 인원은 퇴직자 및 대민행정 서비스 제공 수요 등을 고
2022년도 국가공무원 공개채용 선발인원이 지난 2일 확정 발표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국가공무원 9급 선발예정인원이 작년(5,322명) 보다 350명 많은 5,672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2017년 4,910명 → 2018년 4,953명 → 2019년 4,987명 → 2020년 4,985명→ 2021년 5,322명) 직렬별로 증원 수가 가장 많은 분야는 우정사업본부(지역)로, 작년 보다 433명을 더 선발할 예정이다, 이는 작년에 이례적으로 채용인원이 급감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 전년도인 20년도 채용 수준보다도 93명이 더 늘어난 인원이다. 다음으로 교정(174명), 세무(57명), 일반행정 전국(47명), 교육행정(22명), 검찰(15명) 순으로 채용 인원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반면, 작년 대비 선발예정 인원이 줄어든 직렬도 있다. 우선 고용노동이 작년 대비 206명 감소했고, 직업상담(△60명), 경찰청(△49명), 일반행정 지역(△24명), 통계(△20명), 관세(△19명), 방송통신 전송기술(△19명) 순으로 채용 인원이 감소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행정직에서는 세무, 교정, 일반행정(전국), 검찰직렬에서 채용인원이 증가했다. 반면
내년부터는 9급 공개채용 시험에서 직무역량·업무적응도 향상 등을 위해 직류별 전문과목이 필수과목으로 개편된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2022년 1월 1일부터는 지금까지의 고교 선택과목제는 폐지되고 각 분야별 전문과목으로만 시험을 치르면 된다.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를 31일 발간했다. 지금까지의 선택과목제는 일반행정직의 경우 행벙법총론, 행정학개론, 사회, 과학, 수학 중 2과목, 세무직의 경우 세법개론, 회계학, 행정학개론, 사회, 과학, 수학 중 2과목, 검찰직의 경우 형법, 형사소송법, 행정학개론, 사회, 과학, 수학 중 2과목을 선택하도록 돼 있었다. 정부가 발간한 ‘2022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에 의하면 일반행정직의 경우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세무직의 경우 세법개론, 회계학, 검찰직의 경우 형법, 형사소송법으로만 시험을 치르면 된다. 이에 따라 선택과목간의 점수 편차 조정을 위해 도입되었던 조정점수제도 폐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