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교육청(교육감 김승환)은 ‘2022년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을 2일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고했다. 선발예정인원은 총 262명으로 직렬별로는 교육행정직 183명(일반 169명·장애 9명· 저소득층 5명), 전산직 1명, 사서직 8명, 공업직(일반기계·일반전기) 10명, 식품위생직 5명, 시설직(일반토목·건축) 8명, 기록연구직 7명, 시설관리직 23명, 운전직 17명이다. 이 중 공업직(일반기계·일반전기) 3명, 시설직(건축) 2명은 특성화고등학교 등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연령은 18세 이상(기록연구직은 20세 이상)으로 2004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사람이며, 2022년 1월 1일 이전부터 최종(면접)시험일까지 계속하여 본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전라북도내로 되어 있거나 2022년 1월 1일 이전까지 전라북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을 모두 합하여 3년 이상이어야 가능하다. 단, 동 기간 중 주민등록 말소 및 거주불명으로 등록된 사실이 없어야 한다. 필기시험 원서는 4월 18일(월)부터 4월 22일(금)까지 5일간 전라북도교육청 홈페이지(http://edurecruit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 이하 세종시교육청)은 올해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을 세종시교육청 누리집(http://www.sje.go.kr)을 통해 공고했다. 이번 임용시험의 선발 예정 인원은 공개 경쟁 30명으로, 직렬별로는 교육행정 22명, 전산 3명, 공업(일반전기) 1명, 식품위생 1명, 시설(건축) 3명이며, 이 중 교육행정직은 일반 20명, 장애인 1명, 저소득층 1명을 선발한다. 지원 자격은 만 18세 이상 학력, 경력, 성별 제한은 없고, 2022년 1월 1일 이전부터 최종시험일까지 계속하여 본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세종시 내로 되어 있거나, 2022년 1월 1일 이전까지 주민등록상 세종시 거주기간 합이 3년 이상이면 응시가 가능하다. 기타 응시에 필요한 자격증 요건 및 가산 특전 등에 관한 사항은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숙지한 후 해당 기간 내에 접수해야 한다. 원서 접수는 오는 4월 18일 9시부터 5일간 세종시교육청 나이스 교직원 온라인채용사이트(https://edurecruit.sje.go.kr)를 통해 24시간 실시되며, 마감일에는 18시까지만 접수 가능하다. 필기시험 장소는 5월 30일 세종시교육청 누리집을 통해 공고되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 채용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작년보다 하락한 29.2:1로 집계됐다. 오는 4월 2일 전국 17개 시·도에서 ‘2022년도 9급 공채 필기시험’이 일제히 치러진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우호)는 지난달 10∼12일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선발시험 원서를 접수한 결과, 5,672명 선발에 총 16만 5,524명이 지원해 29.2: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총 5,662명 선발에 19만 8,110명이 지원한 것에 비해 3만 2,586명 감소했으며, 이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지원자 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 경쟁률은 2018년 41.0:1, 2019년 39.2:1, 2020년 37.2:1, 2021년 35.0:1, 2022년 29.2:1이다. 모집 분야별로는 행정직군 4,996명 모집에 14만 1,733명이 지원해 28.4대1, 기술직군은 676명 모집에 2만 3,791명이 지원해 35.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직렬은 71명을 선발하는 교육행정(일반)으로, 1만 6,295명이 접수해 229.5: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기술직군에서는 공업(화공)이 15명 선발에 1,432명이 접수
2022년도 서울특별시 제1회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이 지난 2월 26일에 시행됐다. 올해 들어 치르는 첫 시험이기에 수험생들의 필기시험 응시율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서울시가 발표한 제1회 공채 필기시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평균 응시율은 60.5%, 실질경쟁률 15.5대 1을 나타냈다. 공개경쟁 분야의 응시율은 61.1%로 21.6대 1의 실질경쟁률을 기록했고, 경력경쟁 분야 응시율은 전59.7%로 실질경쟁률 11.3대 1을 나타냈다. 응시율을 바탕으로 한 주요 분야별 실질경쟁률을 살펴보면 ▲산림자원 9급 일반 51.0:1 ▲조경 9급 일반 36.0:1 ▲보건 9급 일반 38.3:1 ▲건축 9급 일반 13.5:1 ▲의료기술 9급 임상병리 12.4:1 ▲의료기술 9급 방사선 16.3:1 ▲간호 8급 14.3:1 ▲지적 9급 일반 6.7:1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약무 7급의 경우 20명 선발에 19명이 지원하고, 7명이 응시해 실질경쟁률이 0.4대 1이었다. 서울시 제1회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결과는 4. 14.(목)에 발표되며, 인성검사(4. 23.), 면접시험(5. 9.~5. 13.)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5.27.(금)에 발표될 예정이다.
우정9급(계리) 시험일정 시험 공고 원서 접수 기간 구분 시험장소 공고일 시험일 합격자 발표 ’22. 2. 23.(수) ’22. 3. 15.(화) ∼ 3. 18.(금) ※ 접수 취소 3. 21.(월) 21:00까지 필기시험 ’22. 5. 2.(월) ’22. 5. 14.(토) ’22. 6. 21.(화) 면접시험 ’22. 7. 12.(화) ’22. 7. 23.(토) ’22. 7. 29.(금) 지방우정청별 선발예정인원 지역 선발 인원 지역 선발 인원 지역 선발 인원 서울 60명 일반: 54 충청 57명 일반: 51 경북 63명 일반: 57 장애인: 5 장애인: 5 장애인: 5 저소득: 1 저소득: 1 저소득: 1 경인 93명 일반: 83 전북 31명 일반: 28 강원 23명 일반: 21 장애인: 8 장애인: 2 장애인: 2 저소득: 2 저소득: 1 저소득: - 부산 72명 일반: 65 전남 57명 일반: 52 제주 8명 일반: 8 장애인: 6 장애인: 4 장애인: - 저소득: 1 저소득: 1 저소득: - 일반 합계 419명 장애인 합계 37명 저소득 합계 8명 2022년 우정9급(계리) 공개경쟁채용시험 선발 예정 인원은 총 464명(일반:419명, 장애인:37명,
오는 26일 치러지는 ‘2022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에서 코로나19 확진 및 격리자에 대한 별도시험장이 운영된다. 일반시험장에는 처음으로 자가진단도구(키트)가 도입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우호)는 오미크론 유행에 따른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 방역 대책’을 23일 발표했다. 확진 및 격리자를 위한 별도시험장과 그 외 일반시험장으로 나눠 각각의 상황에 맞는 응시 및 방역 대책을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격리수험생을 위한 별도시험장에는 의료인력이 배치되며, 확진자 등과의 접촉·비접촉 구역으로 공간을 분리, 동선을 구분하고 시험 종사자들은 방역복을 착용한다. 일반수험생이 시험을 치르게 되는 일반시험장에는 자가진단도구(키트)가 비치되며, 인사처 과장급 직원들이 각 시험장에 방역책임관으로 근무하는 ‘과장급 방역전담제’, 시험실당 수용인원 감축 등이 시행된다. 사전, 당일, 사후의 3단계로 진행되는 현장 중심 시험방역 체계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처는 촘촘한 시험방역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시험 시행 이전부터 확진자, 출입국자 등 관리대상을 파악·관리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총 28,717명의 지방공무원을 신규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발인원 규모는 보건・복지・생활안전 등 주민 접점의 현장중심 신규인력 수요, 퇴직 및 휴직 등으로 인한 예상결원 등이 반영된 것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별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되었다. 2022년 선발예정인원은 전년도 27,195명 대비 5.6% 증가하였으며, 특히 올해부터는 지방의회 의장에게 인사권이 부여됨에 따라 정책지원전문인력을 포함한 지방의회 소속공무원 1,030명을 지방의회가 별도로 채용할 예정이다. ※ 연도별 규모 : (’18) 25,692 → (’19) 33,060 (28.7%) → (’20) 32,042 (△3.1%) → (’21) 27,195 (△15.1%) 직종별, 시도별, 직렬별 선발인원은 다음과 같다. 직종별로는 일반직공무원 28,605명과 별정직공무원 112명을 선발하며, 이 중 일반직은 7급이상 796명, 8․9급 24,327명, 연구·지도직 489명, 임기제 2,962명, 전문경력관 31명이다. 계 일반직공무원 별정직 공무원 소계 7급이상 8・9급 연구 · 지도직 임기제 전문 경력관 28,717 28,605 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