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은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신고 사건처리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관서별로 고충상담원을 지정하여 성희롱 관련 상담 및 고충을 처리해 왔으나, 해당 기간 동안 본청에서 전국 사건을 접수하고 전문상담원과 연계 및 조사 창구 일원화를 통해 조직 내 사건 처리에 대한 공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는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피해 상담 및 신고가 가능하고, 상담 요청 시 자격과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와 연계하여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조사 시에는 본청 동성 조사원이 출장조사 하는 등 피해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처리 하게 된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원스톱 신고센터 운영을 통해 일선 직원들의 성희롱 등에 대한 고충을 전문가 상담 등으로 전문성·공정성·신뢰도를 확보하여 안전하고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해양청>
해양경찰청은 국민 안전을 위한 현장 중심의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자 2021년 하반기 482명을 채용한다고 31일 밝혔다. 모집 분야를 살펴보면 경찰관 총 482명으로 간부후보생 20명, 공채순경 286명, 헬기조종사 17명, 특공 18명, 구조 16명, 함정요원 100명 등 151명, 수사 25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채용에서 선발된 인원은 해양경찰청 등 전국 해양경찰관서에 배치돼 국민의 안전을 위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응시원서는 9월 1일부터 9월 9일까지 9일간 진행되고 필기시험은 11월 6일(토)에 치러지며,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는 11월 12일(금)이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공채분야는 남자 252명, 여자 34명을 채용하며, 지방청별로 ▲중부 50명(남 44, 여 6) ▲서해 87명(남 77, 여 10) ▲남해 70명(남 62, 여 8) ▲동해 60명(남 53, 여 7) ▲제주 19명(남 16, 여 3)을 선발한다. 공채 필기시험 과목은 필수 2과목(한국사, 영어)과 선택 3과목(해양경찰학개론, 형법, 형사소송법, 해사법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중 택 3)으로 100분간 치러진다. 한편, 채용분야별 업무 수행에 필요한 자격기준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이후 첫 전국 단위 신규채용에서 총 4,380명이 최종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소방청은 31일 2021년 전국 소방공무원 신규채용 시험 합격자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소방공무원 시험은 4,438명 선발예정에 47,709명이 출원하여 평균 10.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으며, 공채 소방사 2,759명을 포함해 총 4,381명이 최종 합격했다. 지역별 최종합격인원은 중앙 19명, 서울 363명, 부산 151명, 대구 123명, 광주 70명, 대전 63명, 울산 91명, 세종 44명, 경기 788명, 강원 318명, 충북 304명, 충남 269명, 전북 241명, 전남 457명, 경북 330명, 경남 383명, 제주 106명, 창원 111명 등이다. 공채 소방사 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 경기도는 당초 계획인원에 남자 1명이 추가되어 총 474명이 최종 합격했고, 그 외 인천(남 1명), 강원(남 1명, 여 1명), 경북(남1명, 여 1명) 소방본부도 당초보다 증원 합격했다. 최종합격자는 정해진 기간 내 채용후보자 등록을 마쳐야 하며, 등록 방법 및 기간은 시도별로 다르므로 본인이 합격한 시도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
육군 일반군무원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가 늦어진 가운데 추후 일정인 면접시험 및 최종합격자 발표 연기도 불가피했다. 육군은 27일 2021 일반군무원 필기시험 합격자 명단을 발표하며, 수험생의 시험 준비기간을 고려해 면접시험 및 합격자 발표도 당초 일정보다 각각 일주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육군은 올해 군무원 지원자 증가로 답안지 채점 기간이 늘어나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을 8.20.(금)에서 8.27.(금)로 일주일 연기한 바 있다. 올해 육군 군무원 선발인원은 5,106명(공채: 4,334명, 공채장애: 338명, 경채: 434명)에 37,674명이 지원, 27,017명이 실제 필기시험에 응시했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총 5,839명이며, 이중 공채는 5,382명, 공채(장애구분)은 21명, 경채는 436명이다. 공채분야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차량9급(971명)에는 총 1,179명이 합격했고, 481명을 선발하는 행정9급에는 744명이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채 7급 직렬 중 가장 높은 합격선은 75점의 수사직이며, 다음으로 ▲군사정보 69점 ▲금속 68점 ▲행정/군수 66점 ▲사이버/지도 63점 ▲의공 60점 등의 순이다. 공채
2021년도 국방부 주관 육군·해군·공군 5급 이상 및 국방부 직할부대,기관 전 계급 일반군무원 채용 필기시험 합격자 및 합격선이 발표됐다. 필기시험 합격인원은 공채 867명, 경채 167명 및 장애 21명 등 총 1,055명이며, 공채부문 최고 합격선은 7급 행정 82점, 9급 수사 86.67점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공채 행정 9급의 합격선은 해군(81.33점) 및 공군(82.66점)보다 다소 높은 84점을 기록했고, 행정 7급의 합격선 역시 82점으로 타 기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채 선발 주요 직렬별 합격선을 살펴보면 ▲사서9급 73.33점 ▲군수9급 76점 ▲군사정보7급 70점, 9급 73.33점 ▲기술정보9급 73.33점 ▲건축7급 64점, 9급 69점 ▲시설9급 46.67점 ▲통신7급 45점, 9급 50.33점 ▲전산9급 76점 등으로 집계됐다. 필기시험 합격자 전원은 신원진술서 등 구비서류를 기한(8.20.~8.25.) 내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관련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면접시험에서 불합격 처리된다. 국방부 주관 일반군무원 면접시험은 9.24.(금) ~ 9.30.(목)까지 진행되며, 면접시험 관련 세부일정 및 장소는 9
2021년 해군·해병대 군무원 채용 필기시험 합격자 및 직렬별 합격선이 20일 발표됐다. 공채 일반 746명을 포함해 총 795명이 필기시험 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공채 필기시험 최고 합격선은 9급 81.33점(행정), 7급 75점(수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직렬별 합격선을 살펴보면, ▲행정7급 60점, 9급 81.33점 ▲사서9급 72점 ▲군수7급 63점, 9급 78.66점 ▲군사정보9급 72점 ▲수사7급 75점, 9급 76점 ▲전기7급 59점, 9급 63.66점 ▲전자7급 51점, 9급 48점 ▲전산7급 54점, 9급 53.33점 등으로 집계됐다. 모든 필기시험 합격자는 신원조사 구비서류를 기한 내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기한(8.20. ~ 8.24.) 내 제출하지 않을 경우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신원조사 구비서류에는 신원진술서 및 신원조사용 개인정보수집·이용·제공동의서, 자기소개서, 본인신용정보조회서, 기본증명서, 병역관계서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면접시험은 9.27.(월) ~ 10.7.(목)까지 진행되며, 면접수험 세부 일시/장소는 9.13.(월) 해군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되며, 최종합격자는 10.14.(목)에 발표예정이다.
2021년도 공군 주관 6급 이하 일반군무원 채용 필기시험 합격자 및 합격선을 공개했다. 모든 필기시험 합격자는 신원조사 구비서류를 기한 내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기한(8.20. ~ 8.24.) 내 제출하지 않을 경우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신원조사 구비서류에는 신원진술서 및 신원조사용 개인정보수집·이용·제공동의서, 자기소개서, 본인신용정보조회서, 기본증명서, 병역관계서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면접시험은 9.27.(월) ~ 9.29.(수)까지 진행되며, 면접관련 장소 및 세부 일정은 9.15.(수) 공군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합격자 발표는 10.7.(목)로 예정되어 있다. 9급 공채 필기시험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은 82.66점(행정, 수사, 영상, 항공보기)이며, 다음으로 군수 78.66점, 일반기계·전산 74.66점, 인쇄·군사정보·기상예보 74.33점, 기체 73.00점, 전기 68.00점 등의 순이다. 7급 공채 필기시험 합격선은 행정 71점, 군사정보 73점, 시설 71점, 전자 51점, 통신 72점, 전산 65점, 일반기계 62점, 의공 65점으로 집계됐다. 한편, 시험과목별 본인 성적은 공군홈페이지-공군모집-군무원-지원서확
올해 육군 군무원 채용인원 및 지원자 증가로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이 연기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육군은 오는 8.20.(금)로 예정된 2021년도 6급 이하 일반군무원 공개경쟁 및 경력경쟁 채용시험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을 8.27.(금)로 일주일 연기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는 육군 군무원 지원자 증가에 따른 답안지 채점 기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육군 6급이하 공채 일반군무원은 총 4,672명 선발예정에 사상 최대 규모(35,521명)가 지원해 7.6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편,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를 기다리던 응시생들은 채용인원 증가에 따른 지원자 증가는 당연한 것인데 이를 예상치 못하고 발표일을 미루는 사태까지 온 것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경찰대학은 2021년 8월 16일(월)부터 8월 26일(목)까지 11일간 2022년도 제71기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시험 원서접수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원서접수는 사이버경찰청 누리망 원서접수 사이트(http://gosi.police.go.kr)에서 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추세로 인한 자가격리자 증가 등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들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영어시험을 대체하는 ‘영어능력 검정시험성적’의 제출기한을 연장하기로 했다. 제출기한은 기존 ‘원서접수 마감일인 8월 26일(목)’에서 ‘필기시험 전날인 10월 15일(금)까지’ 제출하는 것으로 50일 더 연장했다. 영어검정시험의 인정 성적은 시험별로 토익: 625점 이상, 토플: PBT 490점 이상, IBT 58점 이상, 텝스: 280점 이상, 지텔프: (레벨2) 50점 이상, 플렉스: 520점 이상, 토셀: 어드밴스트 550점 이상 등이다. 이후, 선발시험 일정은 ▲필기시험(10. 16.)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10. 21. 17:00시) ▲신체ㆍ체력ㆍ적성검사(10. 29.~11. 5.) ▲면접시험(12. 6.~14.)을 거쳐 ▲12월 17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
2022년도 제71기 경찰간부후보생 공개경쟁선발시험 원서접수가 8.16.(월) 09:00 ~ 8.26.(목) 18:00, 11일간 진행된다. 제71기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예정인원은 남·녀 성별 구분 없이 총 50명으로 일반 40명, 세무회계 5명, 사이버 5명이다. 응시자는 영어 능력검정시험 성적을 입력하고, 해당 어학성적표를 스캔하여 업로드하여야 한다. 영어성적은 2019. 8. 27. 이후부터 제1차시험 시행예정일(10.16.) 전날까지 점수가 발표된 시험으로 한정하며 기준점수 이상으로 확인된 시험만 인정된다. 필기시험의 응시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경기도남부경찰청 등 6개소이며, 응시자의 현재 거주지와 상관없이 희망하는 응시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1·2차 필기시험에서 1차는 객관식으로 5개 과목이다. 선발분야별로 일반은 영어, 한국사, 형법, 행정학, 경찰학개론을, 세무회계는 영어, 한국사, 형법, 형사소송법, 세법개론을, 사이버는 영어, 한국사, 형법, 형사소송법, 정보보호론을 본다. 단, 영어 과목은 검정제로 대체된다. 2차 시험은 주관식으로 필수 1개와 선택 1개로 총 2과목이다. 선발분야별로 일반 필수(형사소송법)와 선택 1(행
경찰대학은 2021년 8월 9일(월) 2022학년도 경찰대학 신입생 전형별 모집정원의 600%를 선발하는 1차 시험의 합격자 314명(남성 214명, 여성 100명, 동점자 포함)을 발표했다. 2022학년도 신입생 모집 경쟁률은 92.4대 1로, 50명 모집에 4,620명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 278명(남성 187명, 여성 91명, 동점자 포함), 특별전형 36명(남성 27명, 여성 9명, 동점자 없음)이 1차 시험을 통과했다. 이번 시험은 2021년 7월 31일(토) 전국 14개 시험지구의 15개 시험장(서울 2개소)에서 국어(45문항), 영어(45문항), 수학(25문항, 주관식 5문항 포함) 3과목으로 치러졌으며, 출제는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준수하였다. 또한, 시험 당일 시험장 출구를 단일화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였으며, 시험실별 응시자 간격을 최소 1.5m 이상으로 유지하는 등 질병 관리청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시험 방역관리 안내 지침」을 준수하였다. 응시자 중 자가격리자 4명(서울 1, 부산 1, 경기남부 1, 대구 1) 에 대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