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인사정책 담당자가 대학에 일일강사로 참여하는 ‘청년공감(청년에게 공무원이 다가감)’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찾아가는 정책 토론회 ‘청년공감’의 ’23년 상반기 활동 실적과 만족도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청년공감’은 정책담당자가 대학 수업에 일일강사로 참여해 청년들에게 인사제도를 설명하고, 관련 정책 현안과 공직생활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는 청년 소통 사업이다. 만족도 조사 결과, 정책담당자와의 소통, 공직에 대한 이해 등의 문항이 5점 만점에 각각 4.69점, 4.61점을 기록했고, 청년공감을 주변에 추천하고 싶다는 문항도 4.64점으로 조사됐다. 수강생들은 강의 취지나 내용에 대해 대부분 호의적이었으며, 추가로 지역인재 7급, 특정직 소개 등의 강의도 다수 요청하는 등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지난해 수도권 일부 대학에서 시범 운영된 데 이어 올해는 전국대학으로 확대 시행돼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총 13회의 강의를 진행했다. 특히, 올해는 지방 소재 대학에 우선 참여기회를 부여해 13회 중 8회를 비서울권에서 진행했고 공직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강사진을 채용 부서 5급 사무관에서 인사처
소방청은 봄베, 공기 용기, 공기통 등 동일한 개념을 다르게 부르거나 OB 백 등 과도한 외래어 사용으로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표준화하고 알기 쉽게 순화하기 위해 7월 5일「소방분야 전문용어 표준화 고시」를 개정하고 발령했다. 「소방분야 전문용어 표준화 고시」는 국어기본법(제17조 전문용어의 표준화 등)에 따라 소방조직 구성원과 국민들이 소방분야 전문용어를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를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용어 활용을 권고하고자 제정되었다. 소방청은 앞으로 행정기관의 공문서 작성 국가 주관 시험 출제 등에 고시된 표준화 용어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소방분야 전문용어 표준화 고시」개정으로 소방공무원들과 국민들이 소방의 전문용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어렵고 통일되지 않은 소방분야 전문용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3년 부산광역시 일반행정 필기시험 합격선 90.00 (단위: 명) 구분 직렬(직류)_구분모집 직급 선발예정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 인원 합격선 (가산포함) 비고 계 (18개 직렬, 26개 직류, 46개 구분모집) 960 11,313 8,359 1,075 공개 경쟁 행정 직군 행정직(일반행정) 9급 365 5,532 4,161 417 90.00 행정직(일반행정)_장애인 33 133 104 22 52.00 행정직(일반행정)_저소득층 12 152 99 14 85.00 세무직(지방세) 9급 39 736 521 48 82.00 세무직(지방세)_장애인 3 7 2 1 66.00 세무직(지방세)_저소득층 1 17 10 2 68.00 전산직(전산) 9급 7 214 138 10 84.00 사회복지직(사회복지) 9급 100 1129 865 115 80.00 사회복지직(사회복지)_장애인 7 41 35 4 61.00 사회복지직(사회복지)_저소득층 4 55 42 5 74.00 사서직(사서) 9급 6 237 168 8 91.00 속기직(속기) 9급 1 10 8 2 80.00 기술 직군 공업직(일반기계) 9급 30 205 140 32 81.00 공업직(일반기계)_장애인 3 6
경찰청은 2023. 7. 11.(화) 14시 경찰청 문화마당에서 제2기 경찰청 경찰수사 심의위원회 위원 위촉식을 개최하였다. 경찰수사 심의위원회(이하 ‘수심위’)는 국가수사본부 출범에 따라 학계·법조계·언론계 등 사회 각계 민간 전문가들의 경찰수사에 대한 참여를 보장하고, 경찰수사의 공정성·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청 및 전국 18개 시도경찰청에 설치되었다. (2021년 4월) 경찰청에서는 지난 2년간(2021년 4월∼2023년 4월) 제1기 경찰청 수심위를 운영하며, 수사경찰 인사 혁신 권고안, 책임수사 역량 강화 계획, 조사자 증언제도 내실화 방안 등 경찰의 주요 수사정책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하였다. ※ 현장간담회 포함 총 22회 회의 개최, 주요 수사정책 55건 심의 등 제1기 경찰청 수심위 임기 만료에 따라 발족한 제2기 경찰청 수심위에 위원장 조소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현 한국공법학회 회장)를 비롯해 학계, 법조계, 언론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 15명을 신규 외부 위원으로 위촉하였다. ※ 위원회 심의의 공정성을 위해 외부 위원 명단은 비공개 경찰청은 경찰수사가 국민적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수사경찰의 바람
쌍둥이 등 다태아 출산 시 남성 공무원에게 부여되는 배우자 출산휴가가 10일에서 15일로 늘어난다. 재난·재해 현장 등 위험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에게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회복을 위한 특별휴가도 신설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쌍둥이 등 다태아 출산 시 남성 공무원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대통령령) 개정안이 1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다태아를 출산한 여성 공무원에게는 회복 시간 등을 고려해 90일의 출산휴가를 120일까지 확대 부여하고 있었지만, 배우자 출산휴가는 경조사 휴가 차원에서 자녀 수와 관계없이 10일 휴가를 부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태아 출산은 산모의 회복 지원과 신생아 돌봄에 남편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해 배우자 출산휴가를 15일까지 확대하고, 분할 사용 횟수도 기존 1회에서 2회로 늘렸다. 다태아 출산휴가 확대는 행정안전부(「지방공무원 복무규정」), 국방부(「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도 관련 법령을 동시에 개정해 국가·지방·군인 공무원 모두를 대상으로 오는 18일부터 시행된다. 한편, 인사처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재난·재해 현장 등에서 직접 사
소방청은 소방공무원 직업성 암 중 하나인 비호즈킨(소포성)림프종으로 투병중인 소방공무원이 『소방청 재해보상 전담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공무상요양(공상) 승인을 받았음을 알렸다. 소방청은 소방활동 중 부상을 당한 소방공무원의 공무상 요양 승인 과정에서 개개인이 겪는 입증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2022년 11월 재해보상 전담팀을 신설했다. 전담팀은 직업성암인 비호즈킨(소포성)림프종이 공무수행과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고, 해당 소방공무원의 임용부터 발병 전까지의 유해인자노출 입증자료(출동기록, 근무내역 등) 수집과 ‘공무상재해입증지원사업’을 통해 업무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입증했다. 기존에는 공상을 신청한 공무원이 질병과 업무의 연관성을 직접 입증해야 했으나, 재해보상전담팀 운영으로 신청인의 입증책임 부담이 줄어든 것이다. 또, 공무상요양 신청에서 승인까지 소방공무원에 대한 합리적인 재해보상 지원 여건이 확대되고 부상ㆍ질병시 치료에만 전념할 수 있어 소방공무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했다. 지난 27년간 화재 및 인명구조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다 직업성 암(비호즈킨림프종)에 걸린 소방공무원은 “공상 승인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고 신청을 주
2023년 경찰 하반기 공채 경쟁률 남자 15대 1, 여자 28.9대 1 구분 남 여 채용 접수 경쟁률 채용 접수 경쟁률 계(명) 1,333 19,934 15:1 365 10,552 28.9:1 서울 393 5,266 13.4:1 107 2,945 27.5:1 부산 139 1,990 14.3:1 38 1,112 29.3:1 대구 49 832 17:1 14 451 32.2:1 인천 80 1,088 13.6:1 22 576 26.2:1 광주 15 460 30.7:1 4 223 55.8:1 대전 10 367 36.7:1 3 170 56.7:1 울산 6 218 36.3:1 2 109 54.5:1 세종 6 264 44:1 2 105 52.5:1 경기남부 68 1,699 24.5:1 18 801 44.5:1 경기북부 6 294 49:1 2 117 58.5:1 강원 81 863 10.7:1 22 484 22:1 충북 66 808 12.2:1 18 416 23.1:1 충남 38 626 16.5:1 10 363 36.3:1 전북 44 876 19.9:1 12 469 39.1:1 전남 75 1,121 15:1 20 642 32.1:1 경북 129 1,479 11.5:1 35
민간 우수인재 유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자율적으로 연봉을 책정할 수 있도록 상한 기준이 폐지된다. 근무 연차와 관계없이 승진할 수 있도록 승진소요최저연수를 대폭 단축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부처 인사 유연성·자율성 제고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판단해 적시에 적임자를 선발·배치할 수 있도록 공무원 인사제도 및 운영 방식을 대폭 개선한 것이 주요 골자다. 이번 계획은 ▲유연한 인사 구현(9건) ▲장관 인사권 범위 확대(12건) ▲인사 운영 효율성 제고(8건) ▲위원회 정비를 통한 적시인사 지원(3건) 등 4개 분야 총 32건의 과제로 구성돼 있다. 인사처는 앞서 지난해 9월 제1차 종합계획에 따라 각종 인사규제를 폐지·완화하고, 부처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인사를 지원하는 총 47건의 과제를 발굴·개선한바 있다.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민첩하게(agile) 대응하기 위해 올해도 각 인사제도 별로 개선과제를 추가로 발굴, 제2차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각 부처에서 적시 우수 인재를 선발·배치하는데 장애가 되거나 부처별 특성을 반영한 인사 운영을 제약하는 등 비효율을 발생시키는 규제·절차상 요인 등을 개선
2023년 소방공무원 채용시험 1,528명 최종 합격 구 분 채 용(명) 면접 응시(명) 최종 합격(명) 계 1,560 2,523 1,528 중 앙 31 35 19 서 울 257 379 254 부 산 119 220 119 대 구 48 94 47 인 천 138 211 137 광 주 50 86 50 대 전 29 62 29 울 산 21 35 21 세 종 3 3 2 경 기 422 620 418 강 원 58 84 56 충 북 89 166 91 충 남 19 39 17 전 북 67 111 62 전 남 61 103 60 경 북 44 81 44 경 남 46 78 46 제 주 35 68 34 창 원 23 48 22
2023년 제1회 대전광역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합격선 직렬(직류) 직급 선발예정 인 원 응시인원 필기합격 인 원 합격선 비고 22개 직류 280 3,453 392 행정직 (일반행정) 일 반 9급 106 1,843 165 90.00 장 애 11 46 8 61.00 저소득층 7 58 8 76.00 세무직(지방세) 9급 8 160 11 83.00 전산직(전산) 9급 6 87 8 81.00 사회복지직 (사회복지) 일 반 9급 17 258 24 84.00 장 애 2 12 1 54.00 저소득층 1 14 2 83.00 사서직(사서) 9급 6 52 7 81.00 속기직(속기) 9급 1 10 2 84.00 공업직 (일반기계) 9급 10 49 13 81.00 (일반전기) 9급 14 71 17 83.00 (일반화공) 9급 2 18 4 88.00 농업직 (일반농업) 9급 4 32 6 83.00 (축 산) 9급 2 17 3 80.00 녹지직 (산림자원) 9급 9 33 13 88.00 (조 경) 9급 4 12 5 68.00 보건직(보건) 9급 4 147 5 95.00 간호직(간호) 8급 8 167 17 91.00 환경직(일반환경) 9급 8 66 11 88.00 시설직 (일반
2023년 제1차 공채・경채 필기시험 합격선(평균・최저점) 구분 공채 (250점) 경채 전의경 (300점) 사이버 (300점) 경찰행정 (250점) 평균 최저 평균 최저 평균 최저 평균 최저 서울 남 228.05 220.00 251.49 240.00 245.76 230.00 216.35 195.00 여 236.60 232.50 101단 220.15 210.00 부산 남 230.30 222.50 250.00 230.00 210.00 185.00 192.50 157.50 여 233.94 230.00 대구 남 226.92 217.50 271.67 265.00 232.78 180.00 216.25 207.50 여 233.85 230.00 인천 남 223.53 215.00 216.67 205.00 217.00 180.00 210.28 195.00 여 231.64 227.50 광주 남 229.00 220.00 226.67 195.00 226.67 190.00 196.50 157.50 여 233.86 227.50 대전 남 225.50 217.50 260.00 250.00 210.00 180.00 194.00 165.00 여 234.00 230.00 울산 남 223.00
법원행정처는 법원공무원규칙 개정에 따라 2024년 시행되는 법원직 전산직렬·사서직렬에 대한 채용시험 방식을 기존 경력경쟁채용에서 공개경쟁채용으로 전환하였다고 밝혔다. 단, 보안관리직렬 채용시험은 경력경쟁채용으로 유지한다. 또한, 법원공무원규칙 제20조 제4항 및 별표 6의2에 따라 전산길렬·사서직렬·보안관리직렬 채용시험에 필기시험도 도입됐다고 안내했다. 이와 함께 법원행정처는 2024년 시행되는 시험관련 변경사항으로 7급 이상 법원공무원 채용시험 응시연령을 20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변경하였다고 공지했다. □ 공개경쟁채용 전환 구 분 현 행 변경된 사항 전산직렬 채용시험 경력경쟁채용 공개경쟁채용 사서직렬 채용시험 ❈ 채용 시기는 법원·등기사무직렬 공개경쟁채용 시기와 동일 : 2024년 6월 예정 □ 필기시험 과목(법원공무원규칙 제20조 제4항 및 별표 6의2 참조) ( ) : 배점비율 직 렬 과 목 전산직렬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1차 시험 과목 국어(30%) 한국사(30%) 영어(40%) 2차 시험 과목 컴퓨터일반(50%) 정보보호론(50%) 사서직렬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1차 시험 과목 1. 국어(30%) 2. 한국사(30%) 3. 영어(40%) 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