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파주 2.0℃
  • 구름많음강릉 5.7℃
  • 흐림서울 2.9℃
  • 구름많음인천 2.5℃
  • 흐림수원 3.3℃
  • 구름조금대전 4.7℃
  • 맑음대구 3.8℃
  • 맑음울산 5.0℃
  • 광주 6.8℃
  • 구름많음부산 7.2℃
  • 제주 10.5℃
기상청 제공

2023년 6월 8일부터 ‘만 나이’로 통일

앞으로 매년 11일 모든 국민이 똑같이 한 살을 더 먹는 세는 나이’(한국식 나이 계산법) 문화가 변화된다.

 

법무부와 법제처는 만 나이 통일을 위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과 행정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8일 밝혔다.

 

만 나이 통일개정안이 시행되면 별도의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법령·계약에서 표시된 나이는 만 나이로 해석하는 원칙이 확립돼 나이 해석과 관련된 불필요한 법적 다툼과 민원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개정안은 이달 안으로 공포될 예정이며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고 법제처는 설명했다.

 

만 나이 통일은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등 여러 나이 계산법의 혼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행정적 혼선과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추진해 온 사업이다.

 

법제처가 지난 9월 국민신문고 국민생각함을 통해 실시해 총 6394명이 참여한 국민의견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6%5216명은 만 나이 통일을 담은 민법 및 행정기본법 개정안의 처리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86.2%5511명은 일상생활에서도 만 나이를 사용하겠다고 응답하는 등 만 나이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제처는 연 나이를 규정하고 있는 개별 법령을 만 나이로 개정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과 국민 의견수렴을 내년에 거친 후 소관 부처와 협의해 개별 법령의 정비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통일성 있는 기준을 정착시켜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약속했던 내용이 정부 출범 6개월여 만에 실행됐다법안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완규 법제처장은 국민의 체감 나이가 한두 살씩 어려지면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만 나이 사용 문화가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대국민 홍보를 실시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