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구름조금파주 14.7℃
  • 구름많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3℃
  • 맑음인천 14.3℃
  • 구름조금수원 16.3℃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9.7℃
  • 구름조금울산 20.6℃
  • 구름많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2℃
  • 구름많음제주 17.1℃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공무원 연금 파헤치기

3탄, 연금 지급개시 연령

공무원연금은 공직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공무원이 퇴직 후 받을 수 있는 연금이다.

예전에는 20년 이상 근무해야 했는데, 개정 공무원연금법이 2015622일 공포되어, 20161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201611일부터는 10년 이상 근무 후 퇴직시에도 연금을 받을 수 있다. 같은 공무원이라도 퇴직연금 지급 개시 연령은 언제 임용되었느냐언제 퇴직하느냐2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199611일 이후 임용된 공무원은 201611일부터 퇴직연금 지급개시 연령이 65세 로 단계적으로 연장된다.

1995년 이전에 임용된 공무원의 연금지급개시 연령은 20001231일까지의 재직기간이 20년 이상인가, 미만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20001231일까지 재직기간이 20년 이상이라면, 퇴직한 달의 다음 달부터 퇴직연금을 받을 수 있다. 20년 미만이라면, 200111일 기준으로 20년 미달 연수의 2배 이상을 근무하고 퇴직하면 퇴직한 달의 다음 달부터 퇴직 연금을 받을 수 있다. 200111일 기준으로 미달 연수의 2배를 근무하지 못하고 퇴직한 경우에는 퇴직연도별 연금지급개시 연령을 적용받는다.

    

(19951231일 이전 임용 공무원의 퇴직연도별 연금지급개시 연령)

 


연금법 개정 후 1996년 이후 임용 공무원의 퇴직 연도가 2016년부터 2021년까지는 60세 또는 정년퇴직한 달의 다음 달부터 연금을 받는다. 2022년부터 2034년까지는 2~3년마다 1세씩 단계적으로 연장되어 2033년부터는 65세에 퇴직연금을 받는다.

    

(퇴직연도별 연금지급개시 연령 )

 


공무원임용관계법령 등에서 정한 정년이 60세 미만이거나 계급정년, 직위가 없어지거나 정원을 초과하는 인원이 생겨 퇴직한 경우 등에는 별도의 연금지급개시 연령이 적용된다.

 

(60세 미만의 정년, 계급 정년 등으로 퇴직 시 연금지급개시 연령)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