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치러진 울산광역시 제3회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의 평균응시율은 57.3%이고, 응시인원 기준 평균경쟁률은 27.6대 1로 집계됐다. 이번 시험은 공·경채 13명 선발예정에 626명이 지원했고, 그 중 359명이 필기시험에 실제 응시해 절반 이상의 응시율을 기록했다. 특히 실업계고 구분모집 9급 3직류(일반토목, 건축, 보건)는 응시율 100%를 보였고, 의료기술직 9급도 70% 이상의 응시율을 기록했다. 반면 공채 7급 일반행정직은 473명 출원인원 중 절반인 242명이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산광역시 필기시험 합격자는 11월 12일(금)에 발표되며, 면접시험(11.25.)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6일(월)에 발표될 계획이다.
7급 지방공무원 선발시험 원서접수 결과 인천시가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인천시 필기시험 평균응시율은 55.7%, 실질경쟁률은 14.5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직류별 실질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101.3:1 ▲일반토목 7급 10:1 ▲기계시설 9급 2:1 ▲일반전기 9급 1:1 ▲일반토목 9급 3.5:1 ▲건축 9급 6.5:1 ▲선박기관 9급 2:1 ▲기계시설 9급 7.5:1 ▲전기시설 9급 3:1 등으로 집계됐다. 인천시 지방공무원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9일(화)이며, 면접시험(11. 22. ~ 11. 26.)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일(수)에 발표된다.
지난 10월 16일 치러진 광주광역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의 평균응시율은 59.8%를 기록했다. 공채 7급 25명을 포함하여 총 57명 선발예정에 1,437명이 출원하였으나, 859명이 실제 필기시험에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응시인원을 바탕으로 한 평균 경쟁률은 15.1대 1을 기록해 지난해(20.8:1)보다 낮아졌다. 모집분야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38:1 ▲일반토목 7급 2:1 ▲건축 7급 3.5:1 ▲농촌지도 9.2:1 ▲학예연구 11.3:1 ▲수의연구 3:1 ▲환경연구 7.1:1 ▲수의 7급 3:1 ▲일반기계 9급 3.7:1 ▲일반전기 9급 6:1 ▲일반토목 9급 8:1 ▲건축 9급 9.5:1 등이다. 한편,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5일이며, 면접시험(11. 24. ~ 11. 25.)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0일(금)에 발표될 예정이다.
지난 10월 16일 시행된 제2회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임용 필기시험의 평균경쟁률은 31.4대 1로 집계됐다. 이번 시험은 공채 21명, 경채 36명 등 총 57명 선발예정에 3,223명이 출원했으나, 실제 1,792명이 필기시험에 응시해 응시율 55.6%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응시율은 90.9%를 기록한 보건직 9급이고, 약무직 7급이 36.4%로 가장 낮은 응시율을 나타냈다. 주요 모집분야의 필기시험 응시결과 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64.6:1 ▲운전 9급 74:1 ▲보건 9급 5:1 ▲일반기계 9급 7:1 ▲일반전기 9급 11:1 ▲일반토목 9급 3.5:1 ▲건축 9급 4:1 등이다. 한편, 부산시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10일(목)이며, 면접시험(11. 22. ~11. 23.)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일(수)에 발표될 계획이다.
올해 처음 시행된 공직적격성평가(PSAT) 합격자를 대상으로 치러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2차 필기시험 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는 2021년도 국가직 7급 공채 2차 필기시험 합격자 984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12일 발표했다. 지난달 11일 치러진 2차시험에는 1차시험 합격자 5,754명 중 5,171명이 응시해 89.9%의 응시율을 보였다. 선발예정인원 815명 대비 6.3: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2차시험의 행정직군 합격선은 관세직이 93.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행정(우정사업본부)‧인사조직‧통계가 90.00점 등이다. 기술직군 합격선은 일반농업이 91.00점으로 가장 높았고, 화공 85.00점, 전산개발 84.00점 등이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의 35.7%(351명)로 전년도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 여성합격자 비율 : (‘17)36.0%→(‘18)38.7%→(‘19)37.8%→(‘20)40.5%→(‘21)35.7% 합격자 평균 연령도 27.7세로 지난해(28.3세)보다 다소 낮아졌다. 연령대별로 25~29세가 52.4%(516명)로 가장 많았고, 20~24세 22.9%(225명), 30~34세 17.1%(168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