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군무원 선발규모가 발표된 가운데, 채용기관별 공채 행정직렬 채용인원에 대한 수험생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군무원 행정직렬은 국가직 및 지방직 공무원 선발시험과 시험과목이 유사해 상당수의 수험생들이 병행 지원하고 있다. ※군무원 행정직 시험과목 ▲9급(5개: 국어, 한국사, 영어, 행정법, 행정학) ▲7급(6개:국어, 한국사, 영어,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단, 영어 및 한국사는 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채용기관별로 행정 9급 공채는 육군이 481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국방부 150명 ▲해군 47명 ▲공군 44명이다. 또 행정 9급 공채 장애인 구분모집의 경우 ▲육군 184명▲국방부 45명 ▲공군 10명 ▲해군 7명을 선발한다. 선발계획은 육·해·공군 채용기관별로 주관하며, 원서접수기간(5.7.~5.12.) 및 필기시험(7.24.)을 제외한 시험일정이 각 군별로 차이가 있다. 한편, 같은 날짜에 전국 동시 실시하는 국방부, 육·해·공군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시험에 2개 이상 기관에 중복 또는 복수로 응시원서를 접수 할 수 없으며, 일반모집과 장애인 구분모집 간 복수로 응시원서를 접수할 수 없다.
2021년 해군이 주관하는 일반군무원 채용 시험의 선발예정인원은 487명이다. 이 중 공개경쟁채용은 438명(7급 58명, 9급 380명)이고, 장애인 구분모집 공채 23명, 경력경쟁채용 19명, 지역 구분모집 경채 7명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군무원 응시가능 연령은 7급 이상은 20세 이상, 8급 이하는 18세 이상이다. 또 공채의 경우 필기시험 전일(7.23.)까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 등급 및 영어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점수 이상을 취득해야만 하며, 영어능력검정시험은 2018. 1. 1.이후 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17. 1. 1.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만 인정된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5.7.(금) ~ 5.12.(수), 6일간 이며, 인터넷을 통해서만 접수 가능하다. 필기시험은 타 채용기관과 동일한 7월 24일이며, 면접시험은 9월 27일에서 10월 7일에 시행한다. 최종합격자는 10월 14일(목)에 발표되며, 임용예정일은 11월 1일 이후이다. 한편, 같은 날짜에 전국 동시 실시하는 국방부, 육·해·공군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시험에 2개 이상 기관에 중복 또는 복수로 응시원서를 접수 할 수 없으며, 일반모집과 장애인 구분모집 간 복수
올해 국방부 주관 육군·해군·공군의 5급 및 국방부 직할부대의 전계급 일반군무원 채용시험 계획이 공지됐다. 국방부 주관으로 올해 선발되는 일반군무원은 총 614명으로, 이 중 공채는 614명, 경채는 106명이다. 일반군무원 응시가능 연령은 7급 이상은 20세 이상, 8급 이하는 18세 이상이다. 또 공채의 경우 필기시험 전일(7.23.)까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 등급 및 영어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점수 이상을 취득해야만 하며, 영어능력검정시험은 2018. 1. 1.이후 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17. 1. 1.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만 인정된다. 원서접수는 5월 7일(금)부터 5월 12일(수), 6일간이며, 국방부 및 각 군 주관 시험에는 중복 또는 복수로 응시할 수 없다. 필기시험 관련 세부 계획은 7월 2일(금)에 공지되며, 필기시험 합격자는 8월 2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또 면접시험(9. 24. ~ 9. 30.)을 거친 최종합격자 발표일은 10월 14일(목)이다.
올해 군무원 채용 규모가 발표된 가운데, 육군은 6급 이하 일반군무원에 총 5,107명을 선발한다. 이 중 공채는 4,334명(7급 472명, 9급 3,862명)이고, 경채 435명, 공채 장애구분 338명이다. 직렬별로 공채 7급은 행정 116명, 군수 94명, 군사정보 22명, 수사 14명, 전자 28명, 통신 21명, 사이버 19명, 영양관리 36명 등이며, 공채 9급은 행정 481명, 군수 409명, 군사정보 103명, 수사 52명, 시설 177명, 통신 269명, 전자 120명, 사이버 83명, 전산 64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군무원 응시가능 연령은 7급 이상은 20세 이상, 8급 이하는 18세 이상이다. 또 공채의 경우 필기시험 전일(7.23.)까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 등급 및 영어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점수 이상을 취득해야만 하며, 영어능력검정시험은 2018. 1. 1.이후 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17. 1. 1.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만 인정된다. 원서접수는 5월 7일(금)부터 5월 12일(금)까지며, 필기시험 장소 및 시간은 7월 9일에 안내될 예정이다. 필기시험은 7월 24일 11개 지역(서울, 안양, 의정부, 원
2021년도 공군 6급 이하 일반군무원 공채 및 경채 시험일정이 발표됐다. 공군은 올해 6급 이하 일반군무원을 총 377명 선발하며, 공채를 통해 363명(장애인구분모집 40명 포함)과 경채 14명을 포함하고 있다. 직렬별로 공채 7급은 행정 12명, 군사정보 4명, 시설 2명, 전기 2명, 전자 7명, 통신 7명, 전산 15명, 일반기계 2명, 함정기관 4명, 의공 1명을 포함하고 있다. 공채 9급은 행정 44명, 군수 29명, 군사정보 8명, 수사 8명, 토목 4명, 건축 3명, 시설 12명, 전기 8명, 전자 25명, 통신 29명, 전산 40명, 영상 5명, 일반기계 10명, 용접 2명, 물리분석 2명, 유도무기 1명, 차랑 13명 등이다. 일반군무원 응시가능 연령은 7급 이상은 20세 이상, 8급 이하는 18세 이상이다. 또 공채의 경우 필기시험 전일(7.23.)까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 등급 및 영어능력검정시험 계급별 기준점수 이상을 취득해야만 하며, 영어능력검정시험은 2018. 1. 1.이후 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17. 1. 1.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시험만 인정된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5.7.(금) ~ 5.12.(수), 6일간
올해는 군무원 정규시험을 통해 총 6,490명을 선발하며, 공개경쟁채용으로 5,884명(7급 714명, 9급 5,170명), 경력경쟁채용 606명을 채용한다. 이는 지난해 모집인원(4,139명) 대비 2,350여명 증가한 수치로 국방개력 2.0 추진에 따라 비전투분야 군인 직위를 군무원 채용을 통해 대체하고, 병력 감축에 따른 군무원 증원 요소가 반영된 것이다. 직급별로 5급 38명, 6급 45명, 7급 904명, 8급 174명, 9급 5,329명을 선발예정이며, 채용기관별(공채)로 육군 4,334명, 해군 573명, 공군 363명, 국방부 직할 614명을 채용한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9급 공채는 육군이 3,862명, 해군 504명, 공군 307명, 국방부 직할 497명이다. 국방부는 육·해·공군 5급과 국방부 직할부대·기관 전체 계급의 군무원 채용시험을 주관하고, 각 군은 6급 이하의 군무원 채용시험을 실시한다. 채용기관별 공고문은 인터넷 누리집을 통해 공고되며, 원서접수는 5월 7일(금)부터 시작된다. 필기시험은 7월 24일 전국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지며, 필기시험 합격자는 면접시험(9.24~30)과 신원조사 등을 거쳐 최종합격자(10.14)로
행정안전부는 이재영 행정안전부 차관 주재로 자치경찰제 도입 관련 현안점검 회의를 4월 14일(수) 영상회의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치경찰제도의 시범실시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시·도에서는 조례제정, 사무기구 구성 등 준비가 일정대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2~3개 시·도에서는 자치경찰의 사무범위 설정과 복지비 지급과 관련하여 시·도 경찰청과 조정협의가 지연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이러한 논의과정이 자칫 자치경찰제도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시·도별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추진상황을 점검·공유하고, 준비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안에 대하여 상호 의사소통을 통해서 원만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개최되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 인천, 경기, 충북, 전북, 경북 등 6개 시·도 부단체장 또는 관계관(서울시 정책기획관, 경기도 자치행정국장)들과, 서울·충북 경찰청 자치경찰준비단 관계관이 참석하였다. 이 날 참석자들은 7월 1일 자치경찰제도의 전면시행에 대비하여 차질없이 준비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 간 긴밀한 소통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자치경찰제도는 민선 지방자치 실시 3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