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파주 17.0℃
  • 맑음강릉 19.4℃
  • 맑음서울 16.6℃
  • 맑음인천 15.4℃
  • 맑음수원 16.4℃
  • 맑음대전 18.3℃
  • 구름조금대구 18.4℃
  • 구름조금울산 18.1℃
  • 구름조금광주 18.3℃
  • 구름많음부산 18.2℃
  • 구름많음제주 17.0℃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지방인사행정, 데이터에 기반한 전략적 인사 관리체계로 전환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차세대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별칭:인사랑)” 구축을 완료하고,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적극 참여한 제주도에서 720(), 개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7.20.() 15:30, 제주특별자치도의회(대회의실), 행안부(차관), 광역 및 기초 지자체,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구축사업단 등 온라인 및 현장 참여

 

차세대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은 지방인사행정 전반을 정보화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한 시스템으로 전국의 지방공무원과 공무직 등이 이용한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인사급여와 복무시스템이 분리되어 있어 불편하다는 지적과 수작업이 많아 업무처리가 비효율이라는 문제점이 지속 제기되어 왔다. 이에, 행안부와 243개 전국 지자체는 2020년부터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위탁해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시스템 고도화를 진행해왔다.

 

이번에 구축한 차세대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임용교육평정급여복무 등 인사행정 전 분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지방공무원 통합 인사관리체계가 구축된다. 그동안 인사(임용, 교육, 평정 등)와 급여업무는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에서, 복무관리는 도 새올 행정정보시스템에서 각각 관리해야 했지만, 차세대 시스템에서는 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기 처리가 많았던 공무직 급여복무 관리업무 역시 표준화된 공무직 관리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대폭 개선됐다. 또한, 개별 지자체별 다양한 인사운영 방식에 맞게 유연하게 시스템 환경을 선택ㆍ적용할 수 있게 했다.

 

둘째, 243개 각 지자체별로 분산 운영 중인 인사 데이터베이스(DB)17개 시도 중심으로 통합하고, 유연하면서 안전한 인터넷 정보 공유(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했다. 이를 통해 인사행정 전반에 걸쳐 축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방인사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의 길을 열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개인 컴퓨터(PC) 환경에서 벗어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인사행정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채팅로봇(챗봇:Chatbot)을 활용한 24시간 지자체 인사업무 운영지원 상담서비스도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

 

행안부는 이번 차세대 시스템 구축은 기존에 인사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던 수준데이터에 기반한 전략적 인사 관리체계로 전환시킨 획기적인 변화라고 설명했다. 이번 시스템 전환으로 향후 지자체별 맞춤형 인사행정의 기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번 차세대 시스템 개통을 통해 지자체의 인사관리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 데이터에 기반한 인사행정을 구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