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파주 4.3℃
  • 흐림강릉 9.4℃
  • 서울 5.9℃
  • 천둥번개인천 5.4℃
  • 수원 6.5℃
  • 흐림대전 8.7℃
  • 흐림대구 9.6℃
  • 흐림울산 8.1℃
  • 흐림광주 11.7℃
  • 구름많음부산 10.9℃
  • 맑음제주 15.6℃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2022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 여성 고위공무원·관리자 증가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여성 비율이 10.0%로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리자 4명 중 1명은 여성이었으며, 장애인 의무고용률, 지역인재 선발, 이공계 공무원 임용 등 인적 다양성 확대를 위한 지표 실적도 전년 대비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1년 말 기준, 양성평등장애인지역인재이공계 등 다양한 분야별로 공공부문의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2022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다양성 관리 및 균형인사 공유확산을 위해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가 지난 2018년부터 발간하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공공부문 다양성 현황을 담은 연차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성 고위공무원이 증가하고 여성 관리자가 증가했다.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 수는 160명으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고, 고위공무원 여성 비율은 전년 대비 1.5%p 오른 10.0%로 집계됐다. 여성 고위공무원이 열 명 이상 있는 부처는 3개 기관(외교부 20, 교육부 14, 문체부 10)으로 늘었고, 여성 고위공무원이 한 명도 없는 부처는 ‘207개에서 ’213(중기부, 방통위, 새만금청) 기관으로 줄었다.

 

중앙부처 본부 과장급과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은 각각 24.4%, 24.3%로 관리자 4명 중 1명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부처 본부 과장급 여성 비율은 전년 대비 1.6%p 증가,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은 3.5%p 증가했으며, 공공기관 임원(기관장, 이사, 감사)관리자(부장, 팀장 등) 비율은 각각 22.5%, 27.8%이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모든 공공부문에서 여성 관리자 임용 목표 비율을 넘어섰다. 한편,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율은 중앙부처 42.4%, 지방자치단체 42.5%로 법정 기준인 40.0%를 초과 달성했다.

다음으로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준수했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3.68%, 3.92%, 3.78%, 2021년도 법정 의무고용률인 3.4%를 준수했다.

 

한편, 공공부문 내 중증장애인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앙부처 장애인 공무원 6,034명 중 1,086(18.0%), 지방자치단체 9,942명 중 1,830(18.4%), 공공기관은 18,505명 중 3,708(20.0%)이 중증장애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비율도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지역인재 등 선발이 확대 됐다. 국가직 79급 지역인재 선발인원은 476(7160, 9316)으로 전년 대비 87(22.4%)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지방직 9급 기술계고 채용인원은 371명으로 전년 대비 25(7.2%) 늘었다.

 

또한,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은 의무채용제도 적용 대상 3,357명 중 1,183명이 채용돼 채용 비율은 35.2%*로 전년 대비 6.6%p 상승했다. 이는 2021년도 지역인재 채용 목표 비율 27%8.2%p 초과 달성한 것이다. 한편, 정부위원회의 비수도권 민간위원 위촉률은 전년대비 1.3%p 증가한 43.1%로 목표 비율인 40%를 넘어섰다.

 

이공계 고위공무원이 증가하고 이공계 관리자가 증가했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과 5급 신규채용 인원 중 이공계 비율은 각각 24.1%, 37.5%로 전년 대비 각각 0.6%p, 3.8%p 증가했으며, 연도별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지자체 5급 이상 공무원 중 이공계 비율은 48.1%로 전년 대비 0.8%p 증가했으며, 2016년 목표 비율인 40%를 최초로 넘어선 이래 매년 목표 비율을 초과 달성하고 있다.

* 이공계 고위공무원 비율 : ’1822.1%‘1922.5%’2023.5%‘2124.1%

* 국가직 5급 신규채용 비율 : ’1832.3%‘1932.7%’2033.7%‘2137.5%

* 지방직 5급 이상 비율 : ’1640.2%‘1741.2%’1843.8%’1945.0%’2047.3%‘2148.1%

 

김성훈 인사혁신국장은 공직의 다양성 관리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정부 경쟁력 강화의 핵심 수단이라면서, “공공부문 내 인적 다양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차별없는 포용적 공직문화 구축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