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일)

  • 맑음파주 5.8℃
  • 맑음강릉 18.3℃
  • 연무서울 10.9℃
  • 맑음인천 9.3℃
  • 맑음수원 9.0℃
  • 맑음대전 12.0℃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5.4℃
  • 맑음제주 19.3℃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정부 민간인재 최다 활용 분야, 과학기술 분야로 전체 26% 차지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정부 헤드헌팅)을 가장 많이 활용한 분야는 과학기술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을 활용해 인재를 추천한 239건과 이들 중 최종 임용된 102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활용이 가장 많았다고 18일 밝혔다.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추천 건수는 총 63건으로 전체 26.4%를 차지했다. 이 중 공직에 최종 임용된 인원은 총 23명으로 조사됐다.

 

이어 경영관리 분야가 인재 추천 51, 임용 인원 22명으로 뒤를 이었고, 인사관리(HR)·홍보 분야가 인재 추천 34, 임용 인원 15명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지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각각 1건에 불과했던 융복합 분야의 민간인재 활용요청이 지난해에만 6건을 기록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완전히 새로운 직무가 아닌 이전부터 존재했던 직무 간 결합으로 발생한 융복합 직무는 4차 산업의 주요 핵심어(키워드) 중 하나인 융복합 현상이 공공 분야에도 반영되고 있는 과정으로 풀이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임용자가 60(58.8%)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5(34.3%)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직종별로는 기업인 51(50.0%), 법률·의료 등 전문직 23(22.5%), 연구원 11(10.8%) 순으로 민간인재 임용률이 높았고, 그 외 교수(6), 문화예술인(5), 언론인(4) 등 다양한 직종의 임용 분포를 보였다.

 

기관별로는 중앙부처·지자체 등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이 각각 69(67.6%), 33(32.4%)이 민간인재 영입지원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연 인재정보기획관은 지난 6월 관련 규정 개정으로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대상이 4급 이상에 상당하는 임기제 공무원까지 확대됐다앞으로 제도 활용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활용도가 높은 과학기술 및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젊은 민간인재의 공직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은 지난 2015년부터 공직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 부처 및 공공기관 요청에 따라 민간 우수 인재를 인사처가 직접 발굴, 추천하는 맞춤형 인재 발굴 서비스다.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활용현황(’16~22)

구 분

과학기술

경영관리

HR/홍보

법률·특허

의료/안전

환경/노동

문화예술

인재추천()

63

51

34

37

22

18

14

임용()

23

22

15

20

7

10

5

연령별 임용현황()

구 분

39세 이하

40~49

50~59

60세 이상

임용()

2

35

60

5

직종별 임용현황()

구 분

기업인

전문직*

연구원

교수

문화예술인

언론인

기타

임용()

51

23

11

6

5

4

2

* 변호사, 의사, 변리사, 수의사 자격 소지 후 관련 분야 종사자

 

 최근 3년간 융복합 직무 대상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활용현황

연번

추천연도

기관명

직위

직무내용

1

2020

한국가스공사

융복합사업개발단장

LPG+항만

2

202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환경협력센터장

환경+국제협력

3

2022

울산항만공사

디지털전략부장

항만+친환경 에너지+ICT

4

한국교통안전공단

생활SOC개발팀장

자동차 검사+도시계획

5

한국관광공사

관광기업창업팀장

관광산업+기업창업

6

국민건강보험공단

원가분석부장

보건의료+빅데이터+원가분석

7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콘텐츠운영부장

전시학예+친환경에너지

8

우정사업본부

예금정보과장

금융+ICT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