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와 김진애 열린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근로자의 날(5월 1일) 명칭을 ‘노동절’로 바꾸고 공무원도 쉴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두 후보는 16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등과 비공개 간담회 자리를 가졌다. 간담회 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박영선 후보는 “주4.5일제를 서울시 산하기관, 안전을 담당하는 부분부터 좀 더 강력하게 밀고 나가 주 4.5일제가 한국 사회에 좀 더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특히 안전 담당 부서는 4.5일제를 하게 되면 새로운 일자리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진애 후보는 “김동명 위원장이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꾸면서 공무원까지도 다 쉴 수 있는 제도를 제안했다”며 “모든 사람들이 노동자인 만큼, 노동을 귀한 것으로 보고 노동자의 날로 바꾸는 것을 박후보와 같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박후보도 “노동절에 공무원도 함께 휴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같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공무원은 근로자의 날에 휴무 적용 대상이 아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지난 8일 더불어민주당-한국노총 정책협의회에 참석해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되돌리도록 3월 임시국회
행정안전부는 젊고 참신한 시각을 가진 중앙부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정부혁신 어벤져스를 재구성하고, 각 기관 대표 60여 명이 모여 3월 18일(목)에 ‘제2기 정부혁신 어벤져스 첫모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정부혁신 어벤져스’는 정부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기관별 주니어보드 등의 혁신모임을 연결한 범정부 네트워크로, 2019년 7월 처음 구성된 이후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먼저, 「정부혁신 어벤져스 혁신제안 공모전(’19.12월)」을 통해 온라인으로 보고시간을 예약하는 △스마트 보고시스템, △QR코드를 활용한 민원인 출입관리 등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식을 발굴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일하는 방식, 조직문화에 대한 젊은 공무원들의 솔직한 생각과 개선방안을 담은 「90년생 공무원이 왔다」를 발간하고, 중앙・지자체・공공기관 등 480여 개 기관에 배부하여 공직사회의 세대 간 소통을 이끌어왔다. 특히, 최근에는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과 「정부혁신 어벤져스와의 대화(’21.2.2.)」를 통해 △공직문화 혁신방안, △디지털 시대의 일하는 방식, △세대차이 해소방안 등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나누기도 했다. 2021년 새롭게 시작되는 제2기 정부혁신 어벤져스는 44개 부처
지난 2월 27일 치러진 법원직 9급 공채선발 필기시험의 합격자 명단이 발표됐다. 선발예정인원(317명)의 1.04배수인 329명이 합격한 가운데, 모집분야별로 ▲법원사무 일반 293명(동점자 29명) ▲법원사무 장애인 6명 ▲법원사무 저소득 3명 ▲등기사무 일반 22명(동점자 3명) ▲등기사무 장애인 3명 ▲등기사무 저소득 2명이 합격했다. 이번 필기시험의 합격선은 법원사무(일반)은 81점이며, 등기사무(일반)은 74점으로 기록됐다. 법원사무(일반)직렬 합격자 평균 점수는 84.53점이며, 과목별 평균점수는 ▲헌법 89.03 ▲국어 79.28 ▲한국사 87.24 ▲영어78.07 ▲민법 86.35 ▲민사소송법 85.48 ▲형법 88.98점 이다. 등기시무(일반)직렬 합격자 평균 점수는 법원사무보다 낮은 78.23점으로 나타났고, 과목별 평균점수는 ▲헌법 84.55 ▲국어 71.09 ▲한국사 82.34 ▲ 영어 64.91 ▲민법 81.64 ▲민사소송법 75.09 ▲상법 84.36 ▲부동산등기법 81.82점으로 기록됐다. 필기시험 합격자 중 여성은 지난해(60.96%)보다 7.43%p 높아진 68.39%(225명)이며, 학력별 인원은 고졸이하 6명, 대학교 30
적극적, 창의적인 업무 수행으로 국민들로부터 체감도가 확인된 적극행정 유공 포상자에 대한 시상이 올해 처음 실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와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적극행정을 통해 모범적 성과를 거둔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공공기관 및 지방 공사‧공단 직원 30명을 ‘제1회 적극행정 유공 포상자’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포상은 적극행정 우수공무원을 파격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적극행정이 공직사회 새로운 문화로 확고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진됐다. 수상자에게는 특별승진이나 승급, 성과상여금 최고등급, 평정 시 가점, 교육훈련 우선선발 등 인사상 특전이 한 가지 이상 부여된다. 특히 이번 적극행정 유공포상은 후보자 추천부터 심사, 검증 등 전 과정에 국민이 참여해 체감도가 높은 사례들이 선정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인사처와 행안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지방공사공단 등 82개 기관에서 총 306명을 추천받아 예비심사와 대국민 공개검증, 국민체감도 조사 등에 국민들이 참여 후 현지 실사 등 엄격하고 공정한 심사 과정을 통해 최종 수상자 30명을 선정했다. 28개 기관에서 훈장 4명, 포장 6명, 대통령
다음달 17일 치러지는 2021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원서접수 결과, 경쟁률이 지난해(37.2:1)보다 다소 낮은 35대 1을 기록했다. 올해 국가직 9급 공개경쟁선발시험에는 지난해(185,203명)보다 12,907명이 더 많은 총198,110명이 지원했지만, 선발예정인원(5,662명)이 지난해(4,985명)보다 늘어나 경쟁률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직은 4,951명 선발에 총 171,071명이 출원하여 평균 34.6대 1을, 기술직은 711명 선발에 27,039명이 원서를 접수해 평균 38대 1을 기록했다. 응시원서 접수인원 중 여성 지원자는 114,115명(57.6%)이고, 남성 지원자는 83,995명(42.4%)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지원자들의 평균 연령은 29.2세로 지난해(29.1세)와 비슷했고, 연령별로 20~29세가 61.4%(121,533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39세 30.6%(60,592명), 40~49세 6.5%(12,955명), 18~19세 0.8%(1,598명), 50세 이상 0.7%(1,432명) 순이다. 행정직(일반)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직(렬)류는 교육행정(282.2:1)이며, 출입국
2021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원서접수가 오는 3월 19일(금) 09:00부터 3월 25일(목) 21:00까지, 7일간 진행된다. 마감일을 제외하고 24시간 등록이 가능하며, 취소마감일시는 3월 28일(일) 18:00이다. 접수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회원가입 후 가능하며, 접수증 및 응시표는 5월 3일(월)부터 가능하다. 한편,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채시험은 필기시험 없이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통해 선발되며, 선발 단위별로 정해진 경력과 학위, 자격증 등의 요건을 하나 이상 충족하여야 한다. 또 응시자격인 중증장애인 해당 여부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르며, 장애유형에 따른 제한은 없다. 채용 규모는 매년 평균 25명이고, 올해는 중앙부중앙부처의 일반행정, 간호, 전산, 사서, 방송통신, 기상 등 분야에서 5급 2명, 7급 5명, 8급 5명, 9급 32명, 연구사 1명, 전문경력관 나급 1명을 선발한다.
국민 삶 곳곳에서 적극적으로 헌신‧봉사하는 공무원을 국민이 직접 추천하는 ‘제7회 대한민국 공무원상’이 본격 시작된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제7회 대한민국 공무원상’ 후보자 국민추천 접수를 오는 15일부터 4월 16일까지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대한민국 공무원상’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봉사하고 모범적 행적 및 탁월한 성과로 공직사회에 귀감이 되는 공무원이 대상이다.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추천할 수 있으며, ▲사회적 가치 실현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활성화 ▲국민안전 개선 ▲인재양성 등 4개 분야에서 선발한다. 후보자 추천은 인사처 누리집(www.mpm.go.kr) 또는 중앙행정기관, 광역시‧도 누리집 등에 마련된 온라인 접수창구를 이용하면 된다. 또 추천서를 인사처에 우편으로 송부하거나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접수할 수도 있다. 국민이 직접 추천한 후보자는 소속기관에 전달돼 기관별 공적심사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인사처로 추천되며, 인사처의 심사 및 선발 등을 거쳐 최종 수상자가 결정되며, 공로에 따라 훈장, 포장,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등이 수여된다. 한편, 올해는 예비심사와 본심사위원으로 국민을 위촉하고, 별도의 국민평가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