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5,712명의 신규 공무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지난 18일 경기도는 ‘2021년도 제1·2회 공개경쟁임용시험(7·8·9급)’과 ‘2021년도 제1·2회 경력경쟁임용시험(연구·지도사, 7·8·9급)’ 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경기도는 올해 공개경쟁임용시험을 통해 26개 직류에 총 4,859명(7급 75명, 8·9급 4,784명)을, 경력경쟁임용시험을 통해 26개 직류에 853명(연구사·지도사 54명, 7급 39명, 8·9급 760명)을 선발한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도 208명(공채 163명, 경채 45명), 수원 325명, 고양 440명, 용인 496명, 성남 389명, 부천 241명, 화성 203명, 안산 176명, 남양주 181명, 안양 153명, 평택 295명, 시흥 116명, 파주 240명, 의정부 122명, 김포 248명, 광주 135명, 광명 154명, 군포 82명, 하남 163명, 오산 104명, 양주 51명, 이천 192명, 구리 40명, 안성 150명, 포천 209명, 의왕 38명, 양평 159명, 여주 92명, 동두천 54명, 가평 76명, 과천 98명, 연천 82명이다. 공채 4,859명 중 도에서 선발하는 인원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번 달 14일부터 27일까지 정책참여 플랫폼 ‘국민생각함’에서 국가·지방자치단체 등 각종 채용·자격시험 도중 응시자의 화장실 이용을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국민 의견을 듣는다. 공무원 채용시험, 교원 임용시험 등에서 급작스러운 사유로 시험 중 화장실 이용을 허용하지 않아 응시자의 인권침해와 재입실 불가로 인한 수험권 박탈이라는 지속적인 민원이 제기돼왔다. 인사혁신처에서 시행하는 국가공무원 시험의 경우 시험시작 30분 이후부터 시험종료 20분 전에 한하여 1회에 한해 화장실 이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허용 시간대·횟수 외에 화장실 사용 시 재입실이 불가하다. 단, 사전에 편의지원 제공을 신청한 경우에 한하여 임신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질환자의 경우 시간대 및 횟수에 제한이 없다. 그러나 각 지역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채용시험 등 대다수의 시험에서 화장실 이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임용시험 중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했다. 국가인원위원회에서 공무원 채용시험, 국가기술자격시험 등의 시험 중 화장실 사용제한은 인권침해라는 결정을 했지만, 여전히 대다수 시험실시 기관 등은 부정행위 유발 우려 등을 사유로 이를
2020년도 지역인재 9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최종합격자 명단에 2명이 추가로 이름을 올렸다. 추가 합격자 2명은 관세직과 시설직(일반토목)에 각 1명이며, 1. 15.(금) ~ 1. 18.(월) 기간 동안 수습직원 후보자 등록을 마쳐야 한다. 해당 기간내에 서류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수습직원으로 임명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수습 포기로 처리된다. 또 등록의사가 없는 경우 해당 기간까지 ‘수습근무 포기서’를 작성하여 전자메일로 제출하여야 한다. 지역인재 9급 수습직원 최종합격자들은 각 부처에서 6개월간 수습으로 근무한 뒤, 근무성적 및 업무추진 능력 등에 대한 부처별 임용심사위원회 평가를 거쳐 일반직 9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한편 2020년도 지역인재 9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은 지난해 12월 23일 최종 합격자 244명을 발표한 바 있으며, 추가합격은 당초 선발예정인원 범위 내에서 수습근무 포기 등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 수습근무 시작 전까지 지역별 균형합격 등을 감안하여 면접시험 평정 서적 우수자 순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공공부분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해 올해 3만 9천여명의 공무원을 신규 채용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올해 공공기관 채용 인원의 45% 이상을 상반기 내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 3대 공공부분간 긴밀한 상호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다하고, 1/4분기에 집중 채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사회복지, 안전 등 국민 삶의 질 제고에 필수적인 분야를 중심으로 공무원 채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국가직 1.6만명, 지방직 1.3만명 등 약 3만명의 공무원을 충원하며, 충원 인원을 포함한 신규 채용은 3만 9천여명으로 추산했다. 구체적으로 경찰 5,989명, 해경 1,140명, 소방 4,500명, 교원 13,354명, 군무원 7,682명 등 공공 필수 분야에 총 32,665명을 채용할 계획(잠정)이며, 지난 1일 발표된 일반직 국가공무원 5·7·9급 및 외교관 후보자 채용 인원 6,450명까지 합해 총 39,115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1월 중 공공기간 인턴운영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여 올해 목표인 2.2
국회사무처에서 직접 채용을 시행하는 국회직 공무원은 직렬에 따라 8급과 9급으로 나눠진다. 일반행정직 하나의 직렬만 채용하는 8급과 달리 9급은 속기직·사서직·경위직·방위직·전산직·기계직·전기직·통신기술·토목직·건축직·방송직(방송제작, 취재보도, 방송편성, 촬영, 방송기술)·조경직 등 좀 더 다양한 직렬을 뽑는다. 국회직 9급은 매년 30명 내외로 선발하며, 직렬별로 인력 상황에 따라 채용을 진행하지 않는 수도 있다. 작년 국회직 9급 합격자 통계를 살펴보면, 사서직 일반 2명 선발에 총 210명이 필기시험에 응시하여 10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속기직 일반 72.5대 1, 경위직 29.7대 1, 방호직 12.4대 1, 기계직 43대 1, 통신기술 18.3대 1, 방송직 1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원서접수 응시자의 여성비율이 높은 직렬은 사서직(83%)과 속기직(75%)이였고, 남성비율이 높은 직렬은 방위직(82.8%), 경위직(78.76%), 방송직(74.32%), 통신기술직(66.86%) 등이다. 한편, 국회직 9급의 시험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 공통과목 3개에 직무 관련 전문 지식에 관련된 두 개의 과목을 합하여 직렬별로 총 5개이며
경기도는 13일부터 19일까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받는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집단 감염을 막기위한 선제적 조치다. 따라서 도 및 공공기관 일반직·공무직 등 모든 직종 근무자 전원(1만 2천여명)이 검사를 받게 되고, 대민접촉이 잦은 직원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검사기간과 검사시간을 분산해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검사방식인 비인두도말 PCR검사로 민간 전문기관에서 본청과 북부청, 인재개발원 등 3곳에 검사소를 설치해 현장검사를 실시한다. 확진자 판정시에는 보건소에 통지하고 완치시까지 격리 치료하며, 밀접 접촉자는 즉시 자가격리 조치될 계획이다. 또 확진자·접촉자 발생부서 사무실은 일시 폐쇄하고 소독해 확산 가능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공공기관에서의 집단감염은 행정공백으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민업무로 인해 지역사회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도 직원들이 업무에 전념을 다하고 도민 여러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이번 선제적 검사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자료: 경기도>
2021년 기상직 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챙채용 시험에서 기존에 발표된 인원보다 10명 더 선발할 계획이다. 지난 5일 발표된 2021년 기상직 9급 공채 선발 계획에서는 총 45명을 선발한다고 하였으나, 이를 변경해 10명이 증원된 총 55명을 선발한다. 선발인원이 증원된 모집분야는 전국모집 일반(40명→ 49명)과 전국모집 장애인(3명→ 4명)으로 각각 9명과 1명이 증원되었다. 추가 증원 발표로 올해 기상직 9급 국가공무원은 작년(20명)보다 2.75배 더 많이 선발한다 한편 기상청은 인력운영 사정에 따라 2021년 기상직 7급 국가공무원 공채시험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