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서 전년(140명) 보다 5명 늘어난 145명(행정 분야 90명, 기술 분야 55명)이 최종 합격했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3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를 통해 ‘2020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최종 합격자 145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은 지역별 인재를 고르게 채용, 공직의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고 충원경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2005년 도입됐다. 4년제 대학 총장 추천을 받은 학과성적 상위 10% 이내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필기시험(PSAT·헌법), 서류전형, 면접시험을 거쳐 선발한다. 올해 합격자는 145명(행정 90명, 기술 55명)으로, 2017년 120명에서 2018년 130명, 2019년 140명 등 매년 선발인원을 늘려가고 있다. 합격자 평균연령은 25.1세로 전년도(25.4세)와 비슷하며 성별은 남성 58명(40%), 여성 87명(60%)이다. 합격자는 내년 상반기 공직 적응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기본교육을 이수한 뒤, 중앙행정기관에서 1년 간 수습근무를 하고 근무성적평가 등을 거쳐 일반직 7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김우호 인사처 차장은 “
올해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서 전년(140명) 보다 5명 늘어난 145명(행정 분야 90명, 기술 분야 55명)이 최종 합격했다. 합격자 평균연령은 전년도(25.4세)와 비슷한 25.1세이며, 성별은 남성 58명(40%), 여성 87명(60%)이다.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은 지역별 인재를 고르게 채용, 공직의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고 충원경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2005년 도입됐다. 올해 합격자는 145명(행정 90명, 기술 55명)으로, 2017년 120명에서 2018년 130명, 2019년 140명 등 매년 선발 인원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인재 7급은 대학 총장 추천을 받은 학과성적 상위 10% 이내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필기시험(PSAT·헌법), 서류전형, 면접시험을 거쳐 선발한다. 이번 합격자는 내년 상반기 공직 적응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기본교육을 이수한 뒤, 중앙행정기관에서 1년 간 수습근무를 하고 근무성적평가 등을 거쳐 일반직 7급 공무원으로 임용될 계획이다.
오는 9월 26일 시행되는 국가직 7급 공채 필기시험에서 총 142명의 응시자가 편의지원을 받게 됐다. 장애인 등 편의지원에 대한 신청자는 총 145명으로 이중 142명이 신청내용과 장애정도 및 의사진단서(소견서)가 일치하여 적격 판정을 받았으며, 3명은 신청 철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편의지원의 내용으로 시험시간 1.5배 연장, 보조공학기기 지참허용, 휠체어 전용책상, 별도시험실 배정(좌석간격 조정), 시험중 화장실 사용 허용, 확대문제지 제공 등이 있다. 대상자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로그인-마이페이지-원서접수 내역>에서 본인이 신청한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2020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경쟁률이 작년보다 내려간 46대 1로 집계됐다. 지난 국가직 7급 공채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755명 선발에 총 34,703명이 지원해 평균 46.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접수 인원은 지난해에 비해 535명이 감소해 지난해 경쟁률 46.4대 1보다 다소 내려갔다. 분야별로는 행정직군 562명 모집에 29,826명이 지원해 53.1대1, 기술직군은 193명 모집에 4,877명이 지원해 25.3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경쟁률이 가장 높은 모집단위는 행정직군에서 행정(인사조직)으로 3명 모집에 1,929명이 지원해 643.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기술직군에서는 농업(일반농업)이 9명 모집에 546명이 지원해 60.7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원자 평균 연령은 지난해 29.7세와 비슷한 30.4세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19,420명(56.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대 12,189명(35.1%), 40대 2,645명(7.6%), 50세 이상 449명(1.3%) 순이다. 여성 지원자 비율은 지난 5년간 중 최고인 52.1%로 절반을 넘었다. 당초 이달 22일 진행될 예정이던 7급 공
공직적격성평가(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가 처음 도입되는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1차 필기시험이 내년 6월 이후 하반기 시행된다. 2차 전문과목 시험은 1차 합격자 발표 이후 1~2개월 후 치러지며, 과목별 문항은 25문항으로 확대된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2021년부터 7급 공채에 적용되는 PSAT의 구체적 일정과 운영 방법 등을 18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에 공개했다. PSAT은 현재 5급 공채와 5·7급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에 도입, 운영 중이다. 내년 새롭게 도입될 7급 PSAT은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등 3개 영역으로 치러지며 각 영역별 25문항씩, 총 75개 문항으로 시험시간은 60분씩 진행된다. 합격자는 선발예정인원의 10배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PSAT 합격자에 한해 치러지는 2차 필기시험은 4개 전문과목으로 이뤄져 과목별 현행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확대 출제된다. 시험시간은 과목별 25분으로 총 100분간 실시된다. 2차 시험과목 동점자 발생을 줄이고 과목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5문항씩 늘렸다. 이는 2018년 12월 「공무원임용시험령」이 개정됨에 따른 것
인사혁신처는 지난 7급 공채용 PSAT 예시문제로 언어논리·자료해석·상황판단 각 영역별 4문제를 정답과 함께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공개했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예시문제는 국가공무원 7급의 직무 역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여러 시험위원이 논의하여 출제하였으며, 7급 공무원이 직무 수행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소재와 자료를 활용한 형태를 반영하여 5급 공채용 PSAT와 차별화하였다고 한다. 또한 실제 시험에서는 이번에 공개한 형태와 기존 형태가 함께 출제되고 다양한 난이도로 출제될 예정이며, 2020년에는 실제 시험과 동일한 형태로 모의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2021년 시행되는 7급 공채용 PSAT는 언어논리·상황판단·자료해석 3개 영역 25문항씩(60분) 총 75문항(180분)으로 치러지게 된다.
내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의 선발인원이 올해(140명)보다 5명 늘어난 145명(행정 분야 90명, 기술 분야 55명)으로 확정됐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이같은 내용의 ‘2020년도 국가직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시행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 시험은 각종 대학의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학교장 추천, 필기시험, 서류전형, 면접시험을 거쳐 합격될 경우 1년간 부처 수습근무 후 임용여부 심사를 통해 7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내년도 선발시험의 원서접수 기간은 2020년 2월 3일부터 6일까지로, 원서접수 첫날은 오전 9시부터, 원서접수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수가 가능하고, 원서접수 마지막 날은 오후 9시까지 접수 가능하다. 인터넷 원서접수는 지금까지는 추천하는 학교의 담당자가 원서를 접수했으나, 내년부터는 학교 담당자는 추천에 필요한 사항만 제공하고 학교로부터 추천받은 응시생이 직접 원서를 접수해야 한다. 시험일정 외에 추천요건, 시험과목, 선발절차 등 자세한 사항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게시되는 ‘2020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시행계획’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2019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최종 합격자 809명을 31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에 발표했다. 올해 7급 공채시험은 지난 8월 17일 필기시험에 25,244명이 응시하여 986명이 합격하였고, 이어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4일간 치러진 면접시험에서는 958명이 응시해 선발예정인원 760명 대비 1.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모집 분야별로 행정직군에서 585명, 기술직군에서 224명이 합격했고, 이 중 장애인 구분모집에는 41명이 합격했다. 전체 합격자 중 여성 비율은 38.1%(308명)로 지난해(39.3%)에 비해 1.2p% 낮아졌다.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28.5세로 지난해(28.8세)보다 다소 낮아졌다. 연령대별로는 25~29세가 52.5%(425명)로 가장 많았고, 20~24세 18.4%(149명), 30~34세 17.7%(143명), 35~39세 6.8%(55명), 40~49세 4.0%(32명), 50세 이상 0.6%(5명) 순이었다. 지방인재채용목표제 적용으로 일반행정과 세무, 통계의 3개 모집단위에서 12명(남 7명, 여 5명)이 추가 합격했으며, 양성평등채용목표제 적용으로 우정사업본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2019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임용시험을 10월 12일 서울을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 89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했다고 밝혔다. 총 581명을 선발하는 올해 7급 공채 필기시험에는 4만869명이 지원했으며 평균 경쟁률은 70 대 1로 나타났다. 올해는 별도로 시험을 진행했던 서울시도 다른 16개 시·도와 같은 날짜에 시험을 실시했다. 모집직군별 경쟁률을 보면 행정직군이 87 대 1(선발 417명/접수 36,418명), 기술직군은 27 대 1(선발 164명/접수 4,451명)로 나타났다. 지역별 경쟁률이 높은 지역은 강원 243 대 1, 대구 139 대 1, 전북 136 대 1 순이었으며 경쟁률이 낮은 지역은 전남 37 대 1, 인천 44 대 1, 광주 54 대 1 순이다. 지원자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20대가 51.3%(20,967명)로 가장 많고, 30대가 39.0%(15,927명), 40대가 8.7%(3,547명)를 차지했으며, 50세 이상 지원자도 1%(42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중 여성은 50.7%(20,724명)로 남성 49.3%(20,145명)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비율은 지난해(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