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제2회 지방공무원 필기시험 응시자 중, 사전 등록한 능력검정시험의 유효한 성적을 확인할 수 없는 응시자 명단을 공개했다. 필기시험 과목 중 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는 영어와 한국사는 원서접수 및 추가등록 기간에 성적을 제출하지만, 정상적으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 소명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소명대상자는 영어 78명, 한국사 55명이며, 이들은 11. 2.(화) 18:00까지 유효한 성적표 사본을 전자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 소명시 당초 기재사항에 대한 이상이 있는 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성적표 사본을 스캔 혹은 사진파일로 첨부해야 한다. 한편 능력검정시험 성적은 2016. 1. 1. 이후 실시된 시험 중 필기시험 전일(10. 15.)까지 점수가 발표된 시험의 성적만이 유효하다. 이와 함께 시험의 신뢰성 제고와 수험생 편의를 위해 필기시험 성적을 사전에 공개하고 있다. 응시자들은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에서 로그인 후 성적조회가 가능하며, 해당 점수는 가산점 및 조정점수가 적용되지 않은 원점수이다. 성적 공개는 11. 1.(월)09:00 ~ 11. 2.(화) 18:00까지이며, 답안지 열람을 희망할 경우 사전에 유선 신청 후 인천
올해 공무원 시험을 마무리 짓는 지방공무원 7급 선발 필기시험이 지난 10월 16일에 전국 17개 시·도에서 동시 시행됐다. 시·도별 채용 직종과 인원이 적어 경쟁률이 높은 시험이기에, 수험생들은 필기시험 응시율에 대한 관심도 높다. 이는 원서접수 지원자 중 실제로 필기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사람을 제외한 실질경쟁률이 향후 수험생들의 응시 직렬(류)과 지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한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지역별 중복접수가 금지되면서 서울시의 원서접수 경쟁률이 전년대비 크게 하락하며, 서울시 필기시험 응시율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지방공무원을 꿈꾸는 수험생은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과 함께 거주지 제한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한 서울시 임용시험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서울시가 발표한 공채 7급 등 채용 필기시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평균응시율은59.5%, 실질경쟁률 30대 1을 나타냈다. 필기시험 응시결과는 전년도와 비교해 보면 평균응시율은 8.3%p 상승한 반면, 실질경쟁률은 1.7%p 하락해 지난해 실질경쟁률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중복접수가 금지되면서 서울시 필기시험 결시인원은 그만큼 줄어들어 응시율의 큰 변동을 보인 반면, 응시율 상승이 곧 실
지난 16일 치러진 울산광역시 제3회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의 평균응시율은 57.3%이고, 응시인원 기준 평균경쟁률은 27.6대 1로 집계됐다. 이번 시험은 공·경채 13명 선발예정에 626명이 지원했고, 그 중 359명이 필기시험에 실제 응시해 절반 이상의 응시율을 기록했다. 특히 실업계고 구분모집 9급 3직류(일반토목, 건축, 보건)는 응시율 100%를 보였고, 의료기술직 9급도 70% 이상의 응시율을 기록했다. 반면 공채 7급 일반행정직은 473명 출원인원 중 절반인 242명이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산광역시 필기시험 합격자는 11월 12일(금)에 발표되며, 면접시험(11.25.)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6일(월)에 발표될 계획이다.
7급 지방공무원 선발시험 원서접수 결과 인천시가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인천시 필기시험 평균응시율은 55.7%, 실질경쟁률은 14.5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직류별 실질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101.3:1 ▲일반토목 7급 10:1 ▲기계시설 9급 2:1 ▲일반전기 9급 1:1 ▲일반토목 9급 3.5:1 ▲건축 9급 6.5:1 ▲선박기관 9급 2:1 ▲기계시설 9급 7.5:1 ▲전기시설 9급 3:1 등으로 집계됐다. 인천시 지방공무원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9일(화)이며, 면접시험(11. 22. ~ 11. 26.)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일(수)에 발표된다.
지난 10월 16일 치러진 광주광역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의 평균응시율은 59.8%를 기록했다. 공채 7급 25명을 포함하여 총 57명 선발예정에 1,437명이 출원하였으나, 859명이 실제 필기시험에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응시인원을 바탕으로 한 평균 경쟁률은 15.1대 1을 기록해 지난해(20.8:1)보다 낮아졌다. 모집분야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38:1 ▲일반토목 7급 2:1 ▲건축 7급 3.5:1 ▲농촌지도 9.2:1 ▲학예연구 11.3:1 ▲수의연구 3:1 ▲환경연구 7.1:1 ▲수의 7급 3:1 ▲일반기계 9급 3.7:1 ▲일반전기 9급 6:1 ▲일반토목 9급 8:1 ▲건축 9급 9.5:1 등이다. 한편,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5일이며, 면접시험(11. 24. ~ 11. 25.)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0일(금)에 발표될 예정이다.
지난 10월 16일 시행된 제2회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임용 필기시험의 평균경쟁률은 31.4대 1로 집계됐다. 이번 시험은 공채 21명, 경채 36명 등 총 57명 선발예정에 3,223명이 출원했으나, 실제 1,792명이 필기시험에 응시해 응시율 55.6%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응시율은 90.9%를 기록한 보건직 9급이고, 약무직 7급이 36.4%로 가장 낮은 응시율을 나타냈다. 주요 모집분야의 필기시험 응시결과 경쟁률을 살펴보면 ▲일반행정 7급 64.6:1 ▲운전 9급 74:1 ▲보건 9급 5:1 ▲일반기계 9급 7:1 ▲일반전기 9급 11:1 ▲일반토목 9급 3.5:1 ▲건축 9급 4:1 등이다. 한편, 부산시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11월 10일(목)이며, 면접시험(11. 22. ~11. 23.)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12월 1일(수)에 발표될 계획이다.
올해 처음 시행된 공직적격성평가(PSAT) 합격자를 대상으로 치러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2차 필기시험 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는 2021년도 국가직 7급 공채 2차 필기시험 합격자 984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12일 발표했다. 지난달 11일 치러진 2차시험에는 1차시험 합격자 5,754명 중 5,171명이 응시해 89.9%의 응시율을 보였다. 선발예정인원 815명 대비 6.3: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2차시험의 행정직군 합격선은 관세직이 93.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행정(우정사업본부)‧인사조직‧통계가 90.00점 등이다. 기술직군 합격선은 일반농업이 91.00점으로 가장 높았고, 화공 85.00점, 전산개발 84.00점 등이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의 35.7%(351명)로 전년도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 여성합격자 비율 : (‘17)36.0%→(‘18)38.7%→(‘19)37.8%→(‘20)40.5%→(‘21)35.7% 합격자 평균 연령도 27.7세로 지난해(28.3세)보다 다소 낮아졌다. 연령대별로 25~29세가 52.4%(516명)로 가장 많았고, 20~24세 22.9%(225명), 30~34세 17.1%(168명),
2021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채 등 필기시험이 10월 16일(토) 전국 17개 시·도의 118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2021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채 등 필기시험은 선발예정인원 1,670명에 대해 총 51,720명이 지원하여 평균경쟁률 31대 1을 기록했다. 올해 접수인원은 지난해보다 427명이 줄어 지난해 평균경쟁률 36대 1보다 낮아졌다. 이는 21년부터 전국 동시 실시되는 9급·7급 공·경채 시험에서 시도 중복접수가 제한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20년) 선발예정인원 1,447명, 접수인원 52,147명, 평균경쟁률 36 : 1 선발대상별로는 7급은 619명 선발에 38,846명이 지원해 평균경쟁률 62.8대 1, 연구ˑ지도직은 409명 선발에 6,918명이 지원해 16.9대 1의 평균경쟁률을 나타냈다. 특성화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9급 고졸 경채시험은 372명 선발에 1,822명이 지원해 4.9대 1의 평균경쟁률을 보였다. 시ˑ도별로는 대구가 60.5대 1(선발 28명/접수 1,693명)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고, 충남이 9.2대 1(선발 211명/접수 1,936명)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2021년 지방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이 10월 16일(토),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인천시 일반행정직의 경우 3명 선발예정에 653명이 지원해 217.7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직 7급 전체 선발인원이 현저히 적고, 다양한 직렬을 선발하는 9급과 달리 7급의 경우 일반행정직의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일반행정(일반) 지역별 선발인원은 서울(206명)을 제외하고, 경기도 41명, 전남 32명, 대전 27명, 부산 15명, 광주 15명, 경북 14명 등에 그쳐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쟁률이 높게 형성된다. 일반행정직(일반) 모집분야의 지역별 원서접수 경쟁률을 살펴보면, ▲서울 70.9:1 ▲대전 42.4:1 ▲대구126.4:1 ▲광주 67:1 ▲울산 118:1 ▲세종 32.6:1 ▲부산 129.3:1 ▲경기 106.5:1 ▲강원 113.8:1 ▲충남 83.9:1 ▲충북 140.6:1 ▲전북 79.5:1 ▲전남 17.5:1 ▲경북 69.1:1 ▲경남 107.2:1 ▲제주 93.7:1 등이다. 일반행정 필기시험 과목은 필수 6개(국어, 헌법, 행정법, 행정학, 영어, 한국사)와 선택 1개(경제학원론, 지방자치론, 지역개발론 중